안녕하세요.
1차 목표 지점을 5천만 원, 2차 목표 지점을 1억으로 알려주셨는데, 5천만 원까지 모으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적금, 예금과 같이 저축 외에 소극적 투자가 필요하지는 않은지, 이러한 투자 중 일부를 노후자금 용도로 돌릴 필요는 없을지 고민입니다. (ex. 노후를 위해 매달 10만원 씩 펀드 투자 등)
이번에 마음 잡고 자산 관리를 해보려고 하는데, 모아놓은 돈은 없고 나이는 계속 들어서, 최대한 안전하게 빨리 돈을 모으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ㅠㅠ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을까요?
(P.S. 부업, 이직 등 소득을 늘리는 방법도 필수겠지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콩콩2님, 1차 저축 목표 금액을 5천으로 잡으셨군요~ 제가 사회초년생 때는 부수적인 보험(실비는 제외), 펀드 등을 모두 끊고 오로지 예적금으로만 5천만원을 모았는데요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 ott 해제, 배달 음식 끊거나 줄이기, 택시금지 등 새어나가는 돈을 통제하면서 중소기업 직장인이지만 2년-3년이 안되는 기간 안에 5천 정도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5년 전 시점이라 지금은 물가 상승 및 소득 상승 분을 반영한다면 더 단기간에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저축을 극단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마음이 힘들 수는 있는데요 저는 저축 목표금액을 세운 뒤 남은 월급 내에 월 10-20만원 정도는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도록 여유 자금을 빼두니 그래도 저축하는 것이 덜 힘들긴 했습니다 그리고 그 5천 만원이 종잣돈이 되어 투자를 시작할 수 있었는데요 부업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부업을 하면서 실제 소득이 모이기 시작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저축은 그와 별개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말씀하신대로 사회초년생이라면 이직을 통해 연봉을 늘리는 선택도 좋을 것 같습니다~! 콩콩2님, 종잣돈 만드는 과정이 조금이라도 덜 힘들고 희망 찬 미래를 그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할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