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두의 행복한 노후를 돕는 부부 투자자
행복한노부부입니다 😊
분임, 단임은 이제 하겠는데
매물임장이 아직 두려운 분 있으시죠😭
저도 처음엔 매물임장이 참 어려웠어요.
“매물예약은 어떻게 하지?”
“어떤 질문을 해야 하지?”
부동산 앞에 서 있기만 해도
긴장이 됐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수많은 현장을 다니고,
복비도 지불해가며 경험을 쌓으니
매물임장이 더이상 어렵지 않았어요.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하며 얻은,
매물임장에서 꼭 봐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
---
# “누가 살고 있나?”를 보세요
매물임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그 집이 누구의 삶의 공간인지
파악하는 겁니다.
예를들면,
1. 거주자의 연령대:
경제활동하는 30~50대가 많다면?
=> 수요가 탄탄한 곳일 확율이 높습니다.
2. 가족 형태: 신혼부부? 노부부? 1인가정?
=> 신혼부부가 많은 곳이면
20평대의 수요도 많을 수 있습니다.
아이를 낳게 되면 이동하는 단지인지,
단지내 큰평형으로 이동하는 단지인지도 확인합니다.
=> 단지의 선호도 파악 및 30평대 수요 확인
3. 소득 수준: 집 안에 가전/가구 수준,
여가 용품(골프, 캠핑), 명품 등
=> 소득층이 높은 사람이 살수록
지역 내 선호하는 단지일 확율이 높습니다.
부동산은 결국 사람이 사는 공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하는 곳,
내가 여유가 된다면 사고 싶은 곳들
즉 수요가 많은 단지일수록
가치가 높은 단지입니다.
+
경험상, 전세를 맞출때도
좋은 단지가 더 먼저 빠지고
관리도 더 잘 되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
질문예시 🙋♀️
- 사장님, 신혼부부가 많네요.
20평대 수요도 많겠어요~?
- 사장님, 단지 내에서
30평으로 갈아타기 하는 분들도 많아요~?
- 사장님, 여유있는 분들이 많이 사시네요 ㅎㅎ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인가봐요
---
# 하자와 수리비,
협상 포인트를 잡으세요
구축이라면 전체 수리 기준에서,
신축이라면 최소 수리 기준에서 보세요.
- 벽지, 바닥, 주방, 욕실 상태
- 샷시, 방충망 상태
- 누수, 곰팡이 흔적 등
'투자금' 과 '세입자의 마음'을
동시에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추가로 여기서 발견한 하자로
추가 협상을 요청드릴 수 있는
강력한 협상 카드입니다.
질문예시 🙋♀️
- 사장님, 000 수리가 필요하네요..
이 부분은 가격에서 빼주셔야 할 거 같아요 ㅠㅠ
- 사장님 이정도 컨디션이면 전세맞출때
수리 어느정도 필요할까요?
---
# 단지 매물만 보는 게 아닙니다
사장님과 대화도 매물임장의 일부입니다.
“이 집은 언제부터 나왔나요?”
“전세 손님은 어떤 분들이 오시나요?”
“이 동네 최근 분위기 어때요?”
저는 임보를 쓰면서
단지임장을 하면서 궁금했던 점들을
카톡이나 임보에 적어두고
매물임장할 때 사장님과 대화를 통해
확인합니다.
또한 투자를 고려하는 집이라면
매도자의 자세한 속사정까지도
사장님을 통해 확인합니다.
집이 나온지 오래됐거나,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조율될 확율이 높습니다
---
# 매물임장 후 정리까지가
매물임장 과정입니다
보고 온 매물 중
기억나는 1등을 정하세요.
“사장님은 어떤 매물이 제일 낫다고 보세요?”
물어보고 생각을 함께 듣습니다.
그리고 그 1등들을 모아서 ‘단지별 1등’
다시 그중에서 ‘투자할 수 있는 매물 1등’을 뽑아보세요.
이게 바로 나에게 1등 물건이 됩니다.
정리는 임장 당일, 늦어도 저녁에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다음 날 되면 다 까먹습니다 ㅠㅠ)
매임하는 날엔
함께하는 동료분들과 저녁을 먹으며
봤던 물건을 서로 얘기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예시 🙋♀️
- 사장님, 저희 본집중에 동향, 남향집
1천만원 차이인데 보통 얼마정도 차이나요?
이정도면 남향집이 더 괜찮은걸까요..?
-사장님, 집 컨디션이 비슷한데
전세 맞추려면 어디가 더 나을까요..?
---
# 마무리하며
지금 당장은 투자금이
없을 수도 있고,
지금 보는 매물이
당장 계약할 매물은 아닐 수도 있어요.
하지만, 언젠가 기회가 왔을 때
1등 매물을 반복해서 뽑아 본 사람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만 옵니다.
이번 주도 좋은 매물 많이 보시고,
앞마당 1등 꼭 찾아내시길 응원합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