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세 동향]
서울 전월대비 59 평균 매매가 4천만원 상승(10.6억)
서울 전월대비 59 평균 전세가 3백만원 상승(4.9억) 전세가율 51%
서초 6천만원 상승
강남 9천만원 상승
용산 3천만원 상승
송파 8천만원 상승
양천구 1억 상승
성동구 7천 상승
마포구 6천 상승
광진구 5천 상승
강동구 4천 상승
중구 4천 상승
동작구 4천 상승
영등포구 3천 상승
종로구 2천 상승
동대문구 3천 상승
강서구 1천 상승
서대문구 2천 상승
성북구 1천 상승
관악구 1천 상승
은평구 1천 상승
노원구 1천 상승
구로구 4백 상승
중랑구 5백 상승
강북구 1천 상승
금천구 5백 상승
도봉구 7백 상승
경기 주요지역 전월대비 59 평균 매매가 2천만원 상승(6.8억)
경기 주요지역 전월대비 59 평균 전세가 3백만원 상승(3.8억) 전세가율 59%
과천 1.4억 상승
분당 1.3억 상승
성남 수정구 2천 상승
하남 7백 상승
성남 중원구 6백 상승
안양 동안구 2천 4백 상승
용인 수지구 1천 5백 상승
광명 2천 상승
구리 8백 상승
의왕 7백 상승
안양 만안구 7백 상승
부천 원미구 5백 상승
수원 영통구 4백 상승
부천 소사구 3백 상승
군포시 3백 상승
지방은 여전히 싼 가격인 것 같다. 상승 및 보합 지역보다 하락한 지역이 더 많아보임.
평균 전세가율은 75%, 84기준 평균 투자금은 9천만원 선
전월 대비 상승한 곳: 부산 중구, 진구, 연제구, / 대구 동구, 남구, 달서 달성군/ 광주 서구 / 대전 동구, 중구/ 울산 북구 / 청주 흥덕구, 청원구 / 전주 완산구, 덕진구 / 포항 북구 / 창원 진해구 / 김해시
그 마저도 엄청난 상승폭은 아닌 것 같다.
서울 역시 핫하다,,, 한 여름 썸머
6/30 이후 점점 식어가긴 하지만, 여전히 상승중
역시 가격 상승폭이 떨어지는 것도 5급지부터 움직이는 중
유독 성북구가 상대적으로 좀 덜 오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
지역, 단지마다 다르겠지만 4급지 친구들이 8억대인데 혼자 7억대에 있다구
관악구, 금천구, 은평구는 미미하지만 상승중?? 어떤 영향일까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할 듯
전세증감율은 눈에 띄진 않지만 거의 상승중이고, 서초구만 하락함.
강동, 송파의 전세가 상승이 크다.
성남 수정구 여전히 많이 오른다.. 중원구도 오르는중?
분당도 바람이 분당
평촌도 잠시 멈칫하다 상승중 / 광명은 확실히 6월 30일 이후로 상승세가 둔해짐
과천은 어나더 레벨 얍얍얍이구나
구리는 보합 같은데 전세 없던데 다른곳이 막 오르니깐 이제 키 맞춰진건지 덜오른건지 세부 전수조사 해봐야할듯
수지도 참 많이 오르고 있다.
군포는 보합 및 하락세
하남도 꾸준히 상승중, , 영차
그 외 친구들도 힘내줘
구리,,! 짜식…평촌짜식,,,
서울, 경기는 거래량이 확실히 줄어듦
지방은 큰 편차가 없음.
서울은 선호급지는 매물이 거의 소진되어 있고
중위 하위급지로 갈수록 매물이 쌓
서울 전세물량은 전체적으로 부족해보임. 일부지역은 상대적으로는 많아보이지만, 전체 수요에 비해 많은건지는 의문임.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부파이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