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준 70살까지 아파트 씹(10)어 삼(3)키조 디오a] 4주차강의후기

  • 25.07.31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dream of 디오a입니다

4주차 강의후기입니다

 

실전준비반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면서, 다시 한번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투자는 감이 아니라 구조다.
그리고 그 구조를 파악하려면 ‘내 상황에 맞는 기준’이 먼저여야 한다는 것.

이번 강의에서는 내 자금에 맞는 단지를 어떻게 고를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전까지는 입지, 학군, 평면 같은 요소들을 감으로만 판단했는데, 이제는 구조적으로 바라보게 됐어요.

 

인상 깊었던 포인트 

 

“좋은 단지를 찾지 말고, 나한테 맞는 단지를 찾자”

투자금이 3천이든, 5천이든, 7천이든
지금 내가 가진 총알로 현실적으로 ‘뚫을 수 있는’ 단지가 따로 있더라고요.

강의에서는 전세가율, 실거주 수요, 평면 구조, 향후 개발 가능성 등
여러 지표들을 활용해서 ‘투자금 대비 기회가 있는 단지’를 선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한 마디로, “내 돈 기준으로 단지를 골라야 한다”는 아주 현실적인 메시지.

 

인상 깊었던 포인트

 

“같은 지역이라도 B급, C급 단지에서 기회를 먼저 찾는다”

실전투자자들은 A급 단지를 먼저 보는 게 아니라,
B급 단지에서 기회를 만들고, 올라타는 방식으로 접근한다고 하더라고요.

이는 단순히 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시장 사이클과 저평가 구조를 활용한 전략적인 선택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적용해보고 싶은 점

 

1. 내 투자금 기준 단지 리스트 만들기

  • 총 투자금 기준 3천, 5천, 7천 구간별 단지 조사
  • 전세가율, 실거래가, 평당가, 관리비 등 수치로 비교
  • 직접 엑셀로 정리하면서 감을 구조로 바꿔보기

2. 임장 전 질문 리스트 준비하기

  • “어떤 타입이 제일 잘 나가나요?”
  • “최근 실입주자들이 주로 선택하는 이유는 뭔가요?”
    → 임장할 때 막연히 ‘눈팅’하지 않고, 실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임장 준비할 예정입니다.

 3. 단지 비교 기준 만들기

  • 단순한 가격 비교가 아닌
    커뮤니티 유무, 학군, 주차장 상태, 평면 구성 등 실거주 관점에서 체크리스트 만들기
  • 3개 단지를 비교해보며 직접 적용해볼 계획입니다.

 

 마무리 한 줄 후기

 

"투자 기회는 감이 아닌 구조 속에 있다."

배운 것을 정리하고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하니,
그동안 보이지 않던 것들이 하나씩 보이기 시작합니다.

다음 주엔 직접 만든 단지 리스트를 들고,
임장을 다녀 볼생각이다

 

여러분은 지금 투자 준비, 어떤 기준으로 하고 계신가요?
혹시 저처럼 막연하게 “좋아 보이는 곳”만 보고 계셨다면,
한 번쯤은 “내 돈 기준”으로 시장을 다시 들여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긴시간  명강의를 열정으로 해주신 자모님께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나 디오는 해내는사람이다

한다.해낸다.된다


댓글


디오a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