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실 25기_ 23조_23년 뒤면 우리도 행복한 노부부될조 _공부왕] 강의 후기

  • 25.08.05

[적용할점]

사임 퀄리티를 높이려면 장표에서 투자와 연결될수있는 내용 혹은 내생각이 들어가야는데

내생각에만 또 집중하면 안되는듯.

 

실전반에 와서 퀄리티 높은 사임을 많이 보고, 

튜터링 피드백을 통해 목표를 높게 잡아야 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8월은 다시 큰 틀을 먼저 세워봐야겠다

임장지역 언제까지, 어떤 순서로 다닐지 계획을 세워놓기. 

임보들어가기전에 앞마당 계획 체크, 비엠할점, 적용할점 체크먼저하고 시작하기. 

앞마당 사임 틀 만들어서 사임쓰는 시간 줄이고 시세따고 예정리스트까지 해야 사임이 끝난거라고.. 

사임실력을 높여서 시간을 줄이는거를 목표로 잡아보기.

 

신축은 흐름예상도 어렵고 신축이 준신축이 되어가는 과정을 한번도 생각해보지않아서

이번앞마당이나 기존앞마당의 스캐닝이나 시세트레킹해서 신축움직임을 좀 지켜봐야겟따는 생각이 듬.

이탈수요가 어디로가는지 생각해보기!

 

전세매물갯수+전세가 지도 장표 추가해보기!

 

 

 

 

**다양한 요소(직,교,공급,정책 등)와 "연관성"분석. 
산업호황기 불황기때 단지가격이 연관성이 어느 "정도"인가?

특정산업에 의존하는 지역인가?
이지역의 주 기반산업이 있나?

투자적으로 유의미한 결론"만"  내리기.
시장가격에 결정적인 요인인가 아닌가?
 

**깊이있는 질문? 다른지역과비교해서 어떤점이 특이한가? 관심을 가지면서 좋은질문이 나올수있음.
기반산업이 단지가격상승 영향에 미칠까?같은.

임장지에서도 궁금했던게 최상위 생활권의 단지가격을 받아주는 실거주수요들은 돈잘버는 삼성맨가족일까?란 생각을 했었음. 이번 튜터링을 통해 최고로 와닿으면서 새겨진것이 지역의 선호요소, 중요키워드를 먼저 잡아야 투자금이나 단지범위도, 비교평가도 가능하다는 걸 깊이 깨달음.

 

**한단계이미오른 울산같은 곳의 매도전략 
-전세가가 가파르게 올랐댜=====매도플랜 세우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야된다"라고, 

전세흐름이 매도시기를 알려주는거임. 더 오르겠지?하면 매도타이밍 놓침.
가격상승 초기인지 OR  상승흐름이 전체지역에 번졌는지를 먼저 확인하기
상승흐름타는 중일때 심취하고있으면 안되고 매도하고 나와야함.
 

**별표. 싸다고해서 가격이 먼저오른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선 안된다.

 

**체급에 따라 수요가 한정적이기때문에 투자금규모가 달라야한다. 
투자의 본질은 상승하락. 팔고나오는게 투자의 처음과 끝임. 

 

**과잉공급으로 매전가가 많이 낮아져있고 많이 붙어져있는 지역은 투자적으로 적기이지만

시장규모자체가 크지않아서 가격회복속도가 느려서 매도시기까지 좀 길어질수 있다는 점. 
 

**갈아탈물건있으면 갈아타면되는데, 갈아탈물건없으면 지방은 무조건 매도! 사이클이 짧기때문,. 

지방은 동시 갈아타기힘듬, 수도권은 보유이거나 매도해도됨.

 

**소액투자는 공급과다인 지역일것인데, 역전세 대응 필요해보임. 저가치일 확률자체가 높음. 

**실전반은 잘한다의 기준이 정도를 알게되는 단계임.

 

**사임 끝낫다고 끝난게 아니라 전임이나 매임하고나서도  후반부에 판단이 변경되기도하니까

사임 다시 열어서 알게된 정보들 추가함해서 업데이트해봐야함.


**투자금 없어서 투자 못 할 시기에도 앞마당 늘려두면 스펙트럼이 넓어짐. 


**3주택 취등록세 8퍼, 12퍼 포함해서 투자금 생각해서 가치 있는 단지 인가를 생각해보기
내가 경험한 시장이 영원하지 않음. 
지방은 매도 타이밍이 중요함. 돈을 불리는 용도임, 속도 조절스. 벽돌 쌓는건 수도권 투자임.

세금에 우선순위를 두면 투자금을 최소화시키게 되면서 저가치를 만나게 될 확률이 높음.
투자금에 맞춰 급지나 단지가치가 낮은곳으로 가면안됨.

어떤 후회를 하는지가 실력임.
연차가 올라가면서 다른후회를 할 수 있으면 성장한거임. 


댓글


공부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