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7. "정책 때문에 요즘 집사면 바보라는데요?" 🤔네??? [하하옷_쓰기]

  • 18시간 전

 

 

1일1옷쓰기 #7.

"정책 때문에

요즘 집사면

바보라는데요?"

🤔네???

 

 


 

 

최근 지인과 이야기를 나누다

부동산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전세로 살고 있고,

이제 전세만기가 다가오는 친구였는데

 

왜 자가로 내집 마련은

생각하지 않는지 묻자

 

 

"정책때문에

요즘 집사면 바보라는데요?"

 

 

라고 말을 하는 걸 보며,

안타까움을 느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 1채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요즘 집사면

정말 바보일까?

 

 

 

일단, 627 대책 이후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정확하게 팩트체크를 하는게

중요합니다.

 

627 이후 정말 시장의 상승은

멈췄을까?🤔

 

물론 수도권의 상승폭은

둔화되었지만,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 10억 이하에서

신고가가 계속 나오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좋은 물건부터,

지방의 신고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청주 청주가경아이파크6단지 45평 7.25억 신고가

청주 더샵오창프레스티지 47평 7.24억 신고가

울산 삼산동대성스카이렉스 53평 6.3억 신고가

부산 더샵동래 31평 6.2억 신고가

부산 데시앙해링턴플레이스파크시티 34평 6.05억 최고가

대구 두산위브더제니스센트럴시티 32평 5.74억 신고가

 

등등

 

정말 지금,

집을 사면 안되는 때일까요?

 

위기가 기회라는 걸

아는 사람들은

지금! 움직이고 있습니다.

 

특히,

본인이 10억 이하

내집마련을 준비하고 있다면

더더욱 책상이 아니라

현장으로 나가야 할 때입니다.

 

 

 


 

 

#내집마련이

중요한 이유

 

 

 

제 지인의 사례로 ㅎㅎ

계속 이야기를 이어나가보겠습니다.

 

A씨는

아이를 한 명 두고 있고,

가고 싶은 동네가 있습니다.

 

그 동네의 평균 매수가는

4~5억대 정도이고

A씨는

전세금 + 대출을 받아

내집마련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A씨가

계속 내집마련을 망설이는 이유는

 

"더 떨어진다던데요?..

지금 좀 오르기도 했고.."

 

주변에서 들은 말들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A씨가

내집마련을 망설인 3년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확인해볼까요?

 

 

 

A씨가

50만원의 전세 이자를 내고 있다는 가정하에

2년에 1,200만원 정도의 이자를 냈다라고

생각해봅시다.

 

 

매수를 했다면?

 

 

 

2년에 원리금균등상환 기준

1,800만원 정도

돈을 더 냈어야 했네요.

 

 

당장 매달 나가는 생활비가 달라지는데,

전세가 난거 아니에요?

 

 

라고 잠깐 생각이 드셨다면 ㅎㅎ

 

위에 예시로 든 단지의 가격 변화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A씨가 타겟하고 있던 이 단지는

2년 전 대비

1억 정도 매수가가 오른 상황입니다.

 

 

'2년만에 1억?

(2년 전에 살 걸.. 하)

떨어질 거 같으니까

더 기다려보고.... '

 

 

그런데 이 단지,

전고점 대비 아직도 25% 정도

빠져있는 상황입니다.

 

정말 지금 가격이 비싼가요?

그리고 계속 기다려야 할까요?

 

기다렸을 때

더 가격이 떨어질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보다

더 오르면, 그땐 또 기다려야 할까요?

 

 

 

내집마련을 할 때

필요한 건,

정책, 심리 등 외부 요소가 아니라

 

 

1) 내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2) 내가 타겟하는 단지는 지금 어느 가격 구간인지

3) 지금 내가 매수하는 게 영끌인건지 부담 가능한지

 

'나'의 상황에 맞춰서

단지 매수를 고민해야 합니다.

 

 

 



 

 


 

 

#내집마련을

해야하는 이유

 

 

 

이번에는

2년마다 전세를 옮기고 있는 A와

내집마련을 했던 친구 B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A는

 

'정책이 계속.. 더 떨어질거야..'

'23년 초 대비 너무 비싸져서..'

 

계속해서 핑계를 대며

전세를 살고 있습니다.

 

B는

2년 전, 용기를 내서

수도권 외곽이지만 내집마련을

했었습니다.

 

 

25년 현재,

A의 자산은 그대로이고

A의 현재 가장 큰 고민은

 

1) 다음 집 옮길 때, 전세가격이 오를까봐

2) 아이가 커가면서 돈이 많이 들어가서

 

이 2가지 입니다.

 

 

B의 자산은 부동산이 조금 오르면서

1억 정도 늘어났고

B의 현재 가장 큰 고민은

 

1) 더 좋은 집으로 갈아탈까?

2) 이게 돈이 되네??

부동산을 제대로 공부해볼까?

 

이 2가지입니다.

 

 

내집마련을 통해 돈을 벌어본 B는

고민 자체가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갈수록

두 사람의 자산 격차는 더 커질겁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시간이 갈수록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고

가지고 있는 자산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투자'는 선택의 영역일 수 있지만

부동산은 필수재인만큼

'내집마련'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내가 얼마나

부동산을 알고있느냐에 따라

벌 수 있는 돈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지만

 

가지고 있는 것 만으로

미래의 나에게

든든한 자산이 되어줄거라 확신합니다.

 

 

혹시 지금,

내집마련을 망설이는 분들이 있다면

기사나 뉴스가 아니라

'나의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고민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일1 옷쓰기]

부동산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끄적여요🤗

 

#1. 규제 전과 규제 이후, 시장 호가변화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https://weolbu.com/s/FDzwwttaPO

 

#2. 같은 1기신도시 '선도지구'인데 왜 가격흐름이 다를까?

https://weolbu.com/s/FFXY2pyk4g

 

#3. 집을 안보고 매수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 

https://weolbu.com/s/FIy4VE6SDu

 

#4. 전주, 울산.. 다음은 여기!? 상승 전조현상으로 보는 지방 상승 후보 2개

https://weolbu.com/s/Faz9iASJo8

 

#5. 17년=25년, 상황이 비슷?? 과거를 통한 기회잡기! 가능할까?

https://weolbu.com/s/FybkGHybMM

 

#6. '현금1억이 30억이 됐네요?!' 부동산 투자에서 성공하는 방법

https://weolbu.com/s/F0FjlnXc2k




댓글


미요미우
25. 08. 07. 15:10

내집마련은 할 수 있을 때 해야하는 것 같아요!!옷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주유밈
25. 08. 07. 15:15

오늘의 글도 감사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