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규제는 언제든지 있었고, 언제든지 대출 규제가 있었다.

규제를 해서 수요를 막는거지 수요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므로 가치가 있다면 가격은 오른다.

이럴 때가 투자하기 좋은 시기이다.

 

입지와 가치가 좋은 아파트의 가격은 항상 오르는 것이 아니다.

오르고 떨어지기를 반복하며 우상향을 하는데 떨어졌을 때 내가 확신을 갖고 매수 할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

 

수도권 4급지에서는 교통이 제일 중요하다.

비교평가가 어렵다면 교통을 생각해보자

 

임장을 하는 이유는 살기 좋은 순서를 정하기 위함이다.

1. 임장을 통해서 정말 투자를 하면 안되는 곳 vs 거주지로 살기 편한 곳

2. 거주지로 살기 편한 곳 안에서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를 고른느 것

 

가치 성장 투자하는 방법
1. 가치 성장 투자의 접근 범위를 정함 (1~4급지, 신축 + 구축, 300세대 이상)
2.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단지 정리하고 가치를 확인 

(강남 / 한강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지, 강남 / 여의도 / 도심 접근성이 좋은지, 거주 환경이 좋은지, 신축인지 확인)
3. 현재 가격 수준을 보고 앞으로 나에게 벌어질 일이 무엇인지 알기
전고점을 넘은 것 : 똘똘한 한 채 

(하락이 온다면 하락폭 자체가 클 수 있음 하지만 상승장에서는 상승폭도 큼 / 내가 버틸 수 있을 때 선택)
전고점 이하 : 비싸지 않고, 장기보유시 좋음
전고점 대비 낮은 것 : 싼 수준, 적극적으로 투자 검토
4. 주담대 + 신용대출 + 현금 = 잔금 가능 (리스크 대비)

 

내 앞마당에서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방법
1. 좋은 생활권부터 단지 리스트 확인
2. 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단지리스트 설정
3. 가치가 더 좋은 단지부터 투자 우선순위 설정
4. 전고점 대비 하락률을 보며 앞으로 벌어질 일 판단 (최악을 생각해 봐야 함)

5. 다른 지역, 다른 단지와 비교하여 같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단지 선택
6. 비교 단지가 정말 차이가 없다면 비슷하다면 조건이 더 좋은 것을 선택 (더 깎을 수 있는 것)

 

전세를 계약할 때 너무 높은 금액으로 계약하지말고 매수 시 더 많은 금액을 깎아 전세 계약금도 낮추어서 계약을 하자

그리고 전세금이 많이 올랐다고 하여서 나도 급격하게 높이지 말고 5% 정도를 올리자

너무 급격하게 올려버리면 역전세를 맞았을 때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는 최고, 완벽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손해보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다.

너무 타이트한 투자보다 여유를 가질 수 있는 투자를 하자


댓글


현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