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4/100)독서후기(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_아기곰)

  • 25.08.08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
2. 저자 및 출판사: 아기곰, 아라크네
3. 읽은 날짜: 2025.08.07
4. 총점 (10점 만점): / 9

 

STEP2. 책에서 본 것

기억하자! 재테크 법칙 2
목표 달성의 즐거움을 만끽하라
성취감에 대한 즐거움과 성취 결과에 의한 뿌듯함을 함께 누려 보라
재테크는 기쁨을 두 배로 준다

 

80P 

소위 '고수'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행동 양식을 살펴보면 크게 다음 3가지 면에서 보통 사람들과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1. 시장을 보는 눈(정보해석 능력)
2.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밑천(기초 자본)
3. 행동할 수 있는 용기 또는 자기 확신

 

88P 

정보해석 능력 키우는 방법
첫째, 인터넷을 검색하며 잡지나 신문 등에 이 사람들이 과거에 기고하거나 인터뷰한 글들이 있을 것이다.
나중에 이 사람들의 주장대로 시장이 흘러갔는지를 비교해 보면 된다. 실력 없는 사람을 골라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것저것 다 오른다는 사람도 문제다.
두 번째는 자신의 일기를 쓰는 것이다. 모든 재테크는 변곡점을 잘 파악해야 한다. 어떤 중요한 변화나 정부 발표가 있을 때 그것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꼭 일기장에 메모해두도록 하자. 그리고 몇 개월 정도 지난 후 그 일기장을 드들추어 보자. 그때쯤이면 결과를 보고 원인을 이야기하는 해설자가 많이 나올 것인데, 여기서 우린 정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몇 개월 전 작성한 답안지와 지금 해설자들이 말하는 내용윽 비교하면 내가 어떻게 잘 못 생각했고, 어떤 면을 빠뜨렸는지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133P 

이런 시장의 불확실성 때문에 말로는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처럼 이야기를 해도 정작 투자에는 나서지 못하는 것이다. 안다고 하는 것의 수준이 '믿음의 경지'까지 간 것이 아니라 '이해의 수준'에 머문 것이기 때문이다

 

222P 

예전에는 사 두기만 하면 무조건 오르던 집이 지금은 그런 곳과 그렇지 않은 곳으로 차별화 된다는 의미이다(중략)
공실이 될 가능성이 적은 주택에 투자를 해야한다(중략)
결국 앞으로는 투자를 할 때 주택 수를 무리하게 늘리는 것보다는 한 채를 사더라도 남들도 사고 싶은 곳에 사는 것이 좋다. 무조건 비싼 주택이 좋다는 의미가 아니라 수요가 몰리는 곳에 내 집 마련을 해야 미래에 두 발 뻗고 잘 수있다는 뜻이다.

 

232P

반대로 말하면 인구가 줄어든 지역이 인구가 늘어난 지역보다 매매가나 전세가가 더 올랐다는 것이다. 결국 인구의 증감은 집값이나 전세가와 큰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집값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수요뿐만 아니라 공급이나 유동성 증가 등 여러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2005년에서 2015년까지 통화량M2은 2.2배가 증가했다. 경제 규모가 커진 것도 있지만 돈 가치도 상당 폭 떨어졌다는 뜻이다.
둘째, 집값은 인구수보다 가구 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자. 어떤 집에 아빠, 엄마, 아들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식구가 3명이니 휴대폰도 3대를 썻을 것이다. 그러다 아들이 군대를 가게 되어 휴대폰은 쓸 필요가 없어져 해지를 했다. 인구가 줄어드니 휴대폰 수요가 줄어든 셈이다. 여기까지는 하락론자의 논리가 맞다. 그런데 그 집에 냉장고가 한 대 있다. 아들이 군대에 갔다고 그 집의 냉장고를 팔았을까? 그렇지는 않다. 남아 있는 부모도 생활을 해야 하니까 냉장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252P

서울 수도권 지역에서는 지방과는 달리 대규모 공장이 거의 없다. 이런 이유로 서울이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사업체당 종업원 수가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투자 심리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다소 주관적이라 할 수 있는 투자 심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한국은행에서는 매월 마지막 주에 소비자 심리 지수CSI의 한 항목으로 주택 가치 전망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전국에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는데 샘플 수가 2,000명 이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통계학에서 샘플 수가 1,000이상이면 신뢰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결국 학군과 소득과의 일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것만으로 좋은 학군을 만들기는 충분하지 않다. 그 지역의 교육열이 뒷받침되어야 그 지역이 좋은 학군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지역의 소득보다는 교육열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①투자에 대해 이해하는 걸로 그치면 안된다 내가 체득해서 믿을 수 있는 수준이 되야 그건 내 지식이 되는 것이다.

②공실이 될 가능성이 적어 사놓고 두발뻗고 잘 수 있는 망고아파트를 찾자!

③CSI 지수로 주택 구매심리에 대해 알 수 있구나(100 위로 집값 오를 것이다, 아래로는 집값 내릴 것이다 심리)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①CSI지수로 사람들의 주택 구매심리를 파악하자

 


댓글


인생집중
25. 08. 08. 00:25

꼬미님 아기곰님 책을 읽으시고 후기까지 수고 하셨습니다. 저는 이번에 특강으로 아기곰님을 온라인에서 뵙겠네요 ㅎ 8월도 화이팅 입니다^^

인생탐험 깔짝이
25. 08. 09. 00:09N

와!! 꼬미아버님 저번에 여쭤보신거 바로 읽으셨네요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