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8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후기 [달쥬]

25.08.12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 도서 제목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 로버트 기요사키 (독서 기간: 8월 3일~8월 11일)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p.347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마지막 페이지에 있는 이 구절을 읽고 집으로 돌아가는 지하철에서 펜을 꺼내 책 모퉁이에 이렇게 메모를 적었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건 뭘까? 

나의 커리어적 발전일까? 

안정적인 노후 준비일까? 

한 가정의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삶일까?’ 

나의 결론은 난 이 모든 것을 진심으로 바라고 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중 우선순위는 분명 존재한다. 

 

씁쓸하게도 이런  고민을 주변에 쉽게 이야기 할 수 없다. 

나를 아끼는 이들 중엔 이 이야기를 듣고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넌 욕심이 많아. 

죽기 전까지 모든 걸 이룰 수 없어. 

언제까지 꿈만 꿀래? 

포기하고 현실을 살아. (근데 나 ESTJ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루고 싶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적인 노후 준비’, ‘한 가정을 온전히 품을 수 있는 아내이자 어머니의 삶’, ‘나의 커리어적 발전’ 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을 내가 포기하지 않으면 언젠가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라고 적은 뒤 펜을 정리했다.

 

(근데 나 욕심쟁이인 건 인정)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p.162 왜 부채는 비과세인가


 부채는 비과세라는 내용을 25년 5월 재테기 1강 너나위님의 강의에서 처음 들었다. 당시 난 이 말이 전혀 이해되지 않았다. ‘부채가 어떻게 비과세야…?, 빚을 지고도 갚지 않는 것일까?, 빚은 나쁜 게 아닌가?’ 나의 돈에 대한 가치관이 흔들렸다. 이후 강의들을 들으면서도 돈에 대한 나의 고정관념을 바꾸느라 시간이 걸렸다. 재테기에서 갚아야 하는 부채와 갚지 않아도 되는 부채에 대해 배웠고, 내마기에서 대출을 일으킬 때 어디까지 감당가능한지를 강의를 통해 배웠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 개념을 견고히 다지게 됐다.

 

p.205 ‘자산’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주머니에 돈을 넣어준다. ‘부채’는 비록 그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주머니에서 돈을 빼간다.

 

부동산은 부채라는  내용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에도 나와있는 부분이었다. 나에게 현금 흐름(유입)을 만들 수 있다면 자산이고 내게서 현금 유출이 된다면 부채인 것이다. 

 

✅ 나에게 적용할 점

 

p.115 신께서는 실수를 통해 너에게 말을 건단다, 실수란 정신 차리고 일어나. 여기에 네가 배워야 할 일이 생겼어. 라는 뜻이다. … 실수를 인정하지 않을 때만 죄악이라고 생각했다.

 

누구나 실수하지만 자신의 실수를 단번에 인정하는 사람은 몇 없을 것이다. 나의 허물을 인정하고 바뀌려 노력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 있을까? 하지만 성장하기 위해선 실수를 인정하고 거짓말 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나에게는 조금 더 유연하게 사고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나의 고집에 빠져 나의 실수를 인정하지 못하는 건 아닌지 자기 반성을 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런 시간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은 나를 마주하고 실제로 바라는 모습으로 성장하는 사람이 되자고 늘 다짐한다.

 

p.307 현실 세계의 교육에는 다음의 조건들이 필요하다. 첫째, 배우고자 하는 의지, 둘째, 현명한 교사를 선택하기, 마지막으로 연습. …‘신체적 지능’이 지배적인 지능이라는 점을 명심하라. 무언가를 시작하는 순간 다른 지능들도 협조하며 따라오게 된다.

 

이 책을 보면서 월부의 시스템이 이해가 됐다. ‘독서, 강의, 임장, 투자, 인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월부의 커리큘럼의 흐름을 맡기자는 생각을 했다. 난 지금 배우고자 하는 의지는 대단하고 월부라는 현명한 교사 집합체를 찾았다. 그럼 이제 내게 남은 건 ‘연습’이다. 전화 임장과 매물 임장의 벽을 꼭 깨서 돈이 없어도 투자자의 마음으로 현장을 다닐 것이다. 이러한 시간들이 쌓이면 마스터 멘토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돈이 없어도 기죽지 않는 단단한 달쥬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싶다. 


댓글


달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