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 로버트 기요사키 / 민음인
좋은 부채란 다른 사람이 대신 갚아 주는 부채
읽으면서 “정말 우리나라에서 이게 돼?” 의문스러웠다.
(이게; E 도 경험하고, S도 경험하고, S의 경험으로 투자자를 모아서 투자금을 계약금으로 하고, 나머지는 대출로 자산을 사는 I 가 되고, 또 교육분야 등의 사업으로 B 를 겸하면서 세금을 내지 않는 것. 이렇게 좋은 부채로 자산을 계속 늘려가며, 유령소득으로 시간과 돈을 절약하는 것.)
미국이여서 가능한거 아냐? 나역시도 그런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된다잖아~ 된다고 믿고 싶고, 믿어야지
별 수 있나
내가 속한 세계가 아니니 경험을 안해봤으니,
내 주변엔 부자도 없으니 그러니 내가 당연히 모르는 걸수도 있으니까… 믿어야지!!!!
I 사분면은 세금을 0%, 가장 적게 낸다는 말도 안되는 상황들도
그들이 규칙을 만들기 때문이고, 정부에서 원하는 투자자이기 때문이라고…
E와 S 사분면밖에 모르는 나는 당연히 몰랐지.
부채에서 나오는 유령소득, 포르쉐를 사면 더 부자가 되는 이유 등 뜬 구름 잡는 소리 같지만,
믿고 적용해보고 싶다.
그렇게 B와 I 사분면을 가기 위해서는 진정한 금융교육, 금융 문해력이 필요하다는 말만 반복하는데…
마지막 보너스 섹션에 가서야 ‘진정한 금융교육’ 의 정의가 정리되어 나온다.
1. 태도- 제일중요한, 돈을 대하는, 부자를 바라보는 시각 =태도
2.현명한교사-진정한 전문가, 이룬사람, 부자에게 배우기
3.돈의언어배우기-자본수익률,순영업이익,현금흐름할인법,콜,풋,스트래들,장기주식옵션…등의 단어인 돈의 언어알기
4.어른이되면 어떤사람이 되고싶은지- 훗날 투자소득과 수동적 소득을 위해 일하는 부자이고 싶다
5.세금이 부자를 더욱 부자로 만든다-부자들이(I) 세금을 적게 내는 이유는 규칙을 만드는 사람이기에
6.부채는 자산이다- 부자들은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좋은 빚을 이용한다
7.당신의 성적표-은행은 당신의 재무제표만 본다
8.학습원뿔- 학습하는 방법에 따라 배움(=기억)의 정도가 다르다
로 정리해준다.
3번과 8번이 나에게 신선했다.
경제신문을 읽으라는 이유가 돈의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구나
또한 어찌하면 내가 배운것을 써먹을 수 있을지,
아니 적어도 기억에 오래 남을수 있을지를 학습원뿔 표로 체계적으로 알게 되었다.
돈독모도 토론에 참여함으로써, 말한 내용의 70퍼센트라도 남길 수 있게 하기위한 것이구나
-실제 경험을 시뮬레이션하기 ; 매물 100개 보기
(로버트 기요사키는 3일의 부동산 강의에서 부동산 구매하기 전에 부동산 찾는 일을 100회 시뮬레이션 했다)
-'포르쉐 경제학' 가능한지 증명해보기
-추천도서 읽기;
1. 할 엘로드의 ‘미라클 모닝’
2. 마이클 싱어 '상처 받지 않는 영혼'
3. 개럿 서튼 ‘자신의 회사를 세워라’, ‘자신의 회사를 운영하라’, ‘유한책임회사와 합자회사 사용법’, ‘부동산 틈새 찾기’
4. 켄 맬엘로이 ‘부동산 투자의 ABC’, ‘부동산 관리의 ABC’, ‘부동산투자 고급 가이드’
5.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아빠의 부동산 강의’
중 비슷한 느낌으로 5번부터 시작하자!!!
-경제기사 읽다가 모르는 용어는 지나치지 않고 하루에 1개는 구체적으로 찾아보기
댓글
나미나라공화국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