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아파트를 매매하려고 하는데 처음이라 잘 모르는 점이 너무 많습니다
혹시 답변해주실 수 있는 고수분들 계실까해서 글 올려봅니다
예:) 매매가격 8억 전세 5억
이 물건을 제가 매매하고 전세금을 뺀 나머지 잔금 3억을 대출없이 낸 경우
이때 27년도에 전세 세입자가 나가고 제가 실거주 하러 들어갈때 주담대 5억을 받아서 전세금을 주고 제가 들어갈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전세자금반환대출 1억을 받고 나머지 4억을 제가 별도로 마련해야하는건가요?
2. 1의 경우 보통 전세 만기 전까지 제가 살 집을 전세/월세로 또 구해야하는데, 보통 어떤 대출을 이용해서 자금을 마련하나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윰윰2님 여유로운리치라고 합니다 세안고 매매하는 것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신거 같네요 1. 우선 윰윰2님도 알고 있듯이 27년에 만기가 되는 세가 껴있는 물건을 살때는 (매매가격-껴 있는 전세가격) 만큼만 현금을 들고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말씀해주셨듯이 8억짜리 집인데 5억에 전세가 껴있다면 윰윰2님께서 3억만 가지고 있다면 물건을 매매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렇게 현금 3억을 가지고 세껴있는 물건을 매수를 하게 되면 윰윰2님 명의의 집이 되는 것인데요 27년에 만약 윰윰2님이 실거주를 하기 원하신다면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서 그 돈으로 전세금을 돌려주고 실입주가 가능합니다. 다만 부동산의 위치(수도권,지방)와 주택수(무주택,1주택)에 따라 대출 금액 및 한도는 달라질 수 있으니 이부분은 윰윰2님의 주택상황 및 현재 대출 정책이 어떤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실거주를 하기 전까지는 윰윰2님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월세나 전세로 사실 곳을 알아보시게 될텐데 대출의 종류는 정말 많습니다. 크게는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전세자금대출과 일반 시중(은행)에서 해주는 전세자금대출이 있는데요.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대출은 금리가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조건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전세자금대출은 일반, 신혼부부, HUG, 주택금융공사 등이 있고 각 대출마다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번 확인해보시고 윰윰2님께 가장 알맞는 대출을 찾으시면 됩니다. 만약 정부에서 지원하는 상품이 안된다면 시중 은행에도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기에 각 은행별로 조건 및 특징을 파악하고 가장 괜찮은 조건인 곳에서 전세대출을 받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윰윰님 윰윰님께서 알고계신 것 처럼 3억의 현금으로 매수한 뒤 이후에 실거주를 하고자할때는 5억을 주담대 받아서 전세금을 내어주고 실거주를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6.27대책으로 주담대는 1주택자에 한해서만 나오는 상황이고 주담대를 받은 경우 6개월 내 전입을 해야 하는 점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잘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주담대를 5억 받았을 경우 한달에 나가게되는 원리금을 잘 계산하셔서 현재 수입과 지출 상황을 비교하여 무리가 안되는 선인지 잘 확인하시는것도 필요합니다. 주담대 가능한 최대 금액도 사람마다 다르므로 이 부분도 은행 방문하셔서 비교하여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실거주의 경우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 정책대출과 은행대출이 있습니다. 내집마련기초반 강의 통해서도 이런 기본적인 대출 종류를 배울 수 있어서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같은 내용의 질문이라 댓글로 문의드립니다. "다만 현재 6.27대책으로 주담대는 1주택자에 한해서만 나오는 상황이고 주담대를 받은 경우 6개월 내 전입을 해야 하는 점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잘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세입자가 있는 상태에도 세입자 퇴거 일자를 은행에 확인해주면 문제없이 주택구입용 주담대가 잘 시행될 수 있을까요?? 실거주 목적인데, 세안고 매매 물건들밖에 없어서 참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