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투자스터디

[소액투자스터디 | 킹제이] 1일차 과제: 미래 자산 계산해 보기

25.08.21

 

1. DAY1 강의를 듣고 느낀점, 적용할 점

 

  1. 저축으로는 진짜 답이 없다. 
    → 2% 저축은 30년을 훌쩍 넘는다. 저축해서 수익을 올리는 것보다 절세와 절약이 더 체감이 클 듯하다.


     

  2. 장기적으로는 투자금을 늘려야 한다.
    → 노후 준비 기간을 20년으로 잡았는데 10% 수익을 꾸준하게 내면서 잃지 않은 투자를 하면 도달할 수 있는 금액이다. 주로 투자하고 있는 S&P와 나스닥 ETF 투자 수익률을 약 10%를 잡았을 때 딱 떨어지는 기간이다. 하지만 물가 상승률도 있으니 최종 금액은 17억 정도 되어야 한다고 한다.


     


  3.  

    대충 10% 기준으로 5년을 더 모아야한다는 건데, 매번 10%를 유지할 수는 없으니 장기적으로는 투자금을 늘려야 기간을 더 앞당길 수 있을 것 같다. 희소식이 있다면 어쨌든 월급도 오르고, 배당주로 복리 투자도 하고 있으니까 투자금의 규모는 점점 커질 예정이라는 점이다. 또, 부업 클래스들을 들으면서 수입구조를 다각화하고 있는 점도 달성 기간을 단축하는데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4. 결국 알파 투자를 병행해야한다.
    → 특별한 문제 없이 지금처럼 꾸준히 투자하면 예상되는 시기 쯤에 은퇴 준비는 끝날 것 같다는 생각은 든다. 다만 은퇴 시점을 조금이라도 앞당겨서 돈 걱정없이, 직장 걱정 없이 하고 싶은거 하며 여유롭게 살아가고 싶은 마음도 크기에 부동산 투자를 배우고 병행 해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해 졌다.

     


     

  5. 단계별로 잘 하고 있다.
    → 5년 안에 종잣돈 1억 만들기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노후 자금 계산을 두들겨 보니 지금 형태라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는 믿음이 생겼다. 매년 마다 바뀌는 투자금을 갱신해서 입력해 나가면 목표 달성이 줄어드는 게 가시적으로 보여서 더 동기부여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스터디를 통해 부동산 투자와 소액 투자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이해하고 이후의 단계들을 또 만들어가 봐야겠다.

 

 

 

 

2.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나온 나의 은퇴 목표 금액, 목표 연수익률, 가능한 은퇴 시기는 언제인지 적어보세요.  

 

   

 

   (물가 상승률 반영 전)

 

 

   (물가 상승률 반영 후)


댓글


킹제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