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자모님 도와주세요!!) 소액투자 관련 지방투자의 범위가 궁금합니다.

25.08.22

안녕하세요! 기초강의를 꾸준히 수강하며 최근 3000만원 소액투자 단과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그간 강의나, “기초 강의에서 지방은 30평대를 보세요”, “지방은 구축 말고 신축을 보세요” 라고 배웠고

그렇게 해야한다고 줄곧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단과강의를 듣고나서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1. 교안에 20평대 지방물건이 예시로 나왔는데, 지방도 20평대 소액투자를 해도 되는 건지요?
  2. 지방은 신축이나 준신축만 보아야 할까요?!
    1. 지방광역시: 상품성 좋은 신축, 입지 좋은 구축
    2. 지방중소도시: 도시가 젊고 상품성 좋은 선호 신축, 차선호 신축
  3.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는 달리 보아야 하는지?
    1. 창원, 청주, 천안(아산)

 

저의 종잣돈 및 연 저축가능 금액

  1.  가용재원 : 8월 기준 4,000만원(25년 12월 기준 5천만 원 예상)
  2. 연저축액 : 연저축 가능액 4,300만 원 이상

 

앞마당 현황

  1. 부산 :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2. 대구 : 북구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혼자 해결하려고 했는데 잘 안되어서 급하게 질문드렸습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중꺾마
25. 08. 22. 13:29

안녕하세요 리보플라빈님 소액투자 단과강의 수강하고 계시는군요! 자모님께서는 많은 수강생분들이 강의를 들으시기 때문에 큰틀에서 방향성을 제시해주실 수 밖에 없습니다 ㅎㅎ 저는 투자를 한다/못한다라는 관점보다는 우선순위라고 생각합니다. 1) 지방에서도 20평대 투자 충분히 가능합니다. 단 84가 우선인거고 20평대일 경우 수요가 상대적으로 84보다 부족하기 때문에 신축, 대단지, 환경 등 84와 어깨를 나눌 수 있는 선호요소가 있어야합니다. 2) 지방같은 경우는 대부분 연식이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구축을 투자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방에서도 ‘입지’라는 것을 지니는 곳이 있습니다. 부산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등등 3) 창원, 청주, 천안도 동일한 지방도시입니다. 단, 인구가 많기 때문에 인구가 적은 도시보다 우선순위일 수 있습니다 지금 지방은 전체적으로 저평가 시장이기 때문에 광역시를 우선적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스리링
25. 08. 22. 13:37

안녕하세요, 자모님은 아니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을 드려보겠습니다 :) 1. 지방에서도 20평대 소액 투자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는 30평대를 우선적으로 보시는 게 맞지만, 선호도가 높은 단지의 59라면 다른 단지의 84보다 먼저 오르고 거래가 더 활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선호도가 높은 단지의 59라면 고려해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2. 신축·준신축 우선이지만, 입지가 압도적이라면 구축도 가능합니다. 지방에서는 신축이나 준신축을 먼저 고려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다만 땅의 힘, 입지 독점성이 있는 지역(예: 대전 서구 둔산동, 대구 수성구 범어동 등)이라면 구축도 투자 범위에 넣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압도적 1등이 아닌 생활권에서는 신축 위주로 접근하시고, 매도 시기에 맞춰 잘 정리하고 나오는 게 중요합니다. (즉, 입지 or 연식가치 어떤 요인으로든 수요가 확실히 붙는 단지를 선택하는 게 핵심입니다) 3. 인구 100만 이상 중소도시에도 동일한 기준 적용 인구 규모가 큰 지방 도시(예: 창원, 청주, 천안 등)에서도 위와 같은 기준으로 접근하시면 됩니다. 지방 물건의 경우 압도적 1등 생활권 단지가 아니라면 10년 이상 장기 보유하기보다는 중간에 매도하고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타는 디딤돌 역할로 보시는 게 현실적입니다. 결국 관건은 “내가 매도를 하려고 할 때 하락장이든 상승장이든 팔릴 수 있는 물건인가?”라는 기준으로 접근하시면 좋겠습니다~ :)

로건파파
25. 08. 22. 14:59

리보플라빈님 안녕하세요? 더운데 앞마당 만들고 계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지방 투자에 대한 투자 기준을 잡을 때 저 역시 고민이 많았습니다. 우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건 절대적인 공식은 따로 없다는 점입니다 ^^ㅎ 따라서, 단지를 볼 때도 상대적으로 다른 단지들과의 선호도를 먼저 따져보는게 중요할 것 같아요. 1. 지방 20평대 물건 중에서도 사람들의 선호도를 충분히 끌 수 있는 단지라면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지방이기 때문에 입지적인 힘이 크지 않아서 연식이 좀 더 좋은 단지를 찾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2.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지방은 연식이 중요해지는 곳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는 준신축과 신축을 우선 고려해보는게 맞지만 그렇다고 구축은 절대 투자하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언급하셨듯이 광역시 중에서는 구축도 입지가 좋은 구축이 있고, 중소도시 중에서도 많지는 않지만 입지가 좋은 구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구축이 안된다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3. 인구 100만에 가까운 도시는 달리 봐야하는가? 물론 거주 인구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요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더 적은 중소도시보다는 다르게 봐야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대신 절대적인 인구수가 무조건 많다고해서 무조건 더 좋은 지역은 아닐 수 있음을 염두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부동산 투자에 절대적인 공식은 없습니다. 강의에서 말씀드리는 기준은 보편적인 기준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ㅎ 리보플라빈님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