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적 여유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돈이 있으면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늘어난다>
- 정년퇴직 후 월 500만원 현금흐름 창출, 순자산 20억 이상
- 마당이 있는 전원주택
- 퇴직 후 배우자와 세계여행
2. 행복한 가정
<가족은 돈으로 비교할 수 없다. 돈이 없다는 핑계로 자녀 계획을 포기하지 않는다>
- 분기 1회 국내여행, 연 1회 해외여행
- 자녀 둘 이상 낳기
3. 맑은 정신과 건강한 육체
<맑은 정신은 건강한 육체로부터 온다>
- 주 3회 웨이트 트레이닝
- 농구, 테니스 동호회 활동
4. 인간관계
<돈이 아무리 많아도 혼자인 삶은 무의미하다>
- 나의 행복을 위해 가족을 희생 시키지 않기
- 분기 1회 친구들과의 만남
- 정년퇴직까지 일하면서 사회생활 유지
1. 노후 생활 자금: 21억
- 기대수명 95세
- 은퇴시기 60세
- 생활비 월 500만원
- 500만원 X 12개월 X 35년(은퇴 이후 여생)
2. 거주 마련 비용: 15억
- (지방) 전원주택
3. 자녀 물려줄 집: 15억
- (서울) 아파트
필요한 노후 자금 합계 ▶ 총 51억 원
<정년퇴직까지 일하는게 인생의 목표이므로 목표 금액에 따른 필요 연적축액 및 수익률 계산>
목표 현금 흐름 및 자산
1) 현금흐름 (세전 월 700만원 → 세후 월 500만원)
- 국민연금 : 월 100만원 (보수적 접근)
- 개인연금 : 월 200만원 (연금저축펀드 연 600만원, 수익률 9% 발생 시 가능, S&P500+나스닥100 50:50)
- 퇴직연금 : 월 100만원 (최소한의 인생 보호장치로 DB 선택)
- 임대수익 : 월 300만원 (75만원 × 4채) (4억짜리 집 임대 수익률 연 2.4% 계산)
2) 자산 (전원주택, 자식 물려줄 서울 아파트, 임대용 부동산 4채)
- (지방) 전원주택 : 15억
- (서울) 아파트 : 15억
- 임대용 부동산 : 4억 × 4채 = 16억
- 총 부동산 자산 46억 원 필요
부동산 자산 목표 금액 46억 원 (현재 나이 32세, 퇴직 나이 62세, 연금 제외한 연저축액 3,000만원)
→ 연 수익률 약 10% 필요 !
→ 매매 4억, 전세 3억5천, 갭 5천, 최종 매매가 50% 상승으로 가정
→ 1채 당 순자산 2.5억 × 30채 = 75억
→ 노후에 자산 리밸런싱 하면서 세금 납부 시 목표금액인 46억 달성 !!
→ 30년 동안 매년 1채씩 30채 매수 필요
(전세가 상승분 고려하여 순수 목돈으로는 2년에 1채씩 매수)
<가정 : 연 3,000만 원 저축 / 2년에 전세금 1,000만 원 상승 / 세금 포함 1채 매입 시 현금 6,000만 원 필요>
2023년(32살) 0
2024년(33살) 1
2025년(34살)
2026년(35살) 2
2027년(36살)
2028년(37살) 3
2029년(38살) 4
2030년(39살) 5
2031년(40살)
2032년(41살) 6
2033년(42살) 7
2034년(43살) 8
2035년(44살) 9
2036년(45살) 10,11
2037년(46살) 12
2038년(47살) 13,14
2039년(48살) 15
2040년(49살) 16,17
2041년(50살) 18
2042년(51살) 19,20,21
2043년(52살) 22
2044년(53살) 23,24,25
2045년(54살) 26,27
2046년(55살) 28,29,30
2047~53년(56~62살) 리밸런싱 <일부 매도하면서 월세 전환 및 서울의 똘똘한 아파트로 변경>
댓글
비전보드가 꿈이 아닌 현실이 되도록 실행하는 멋진 투자자가 되시길 응원합니당~ 👍❤💛💜
우와~~ 구체적인 계획!! 대단하세요~~~ BMT님이 원하시는 목표 꼭 이루실 것 같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D:)
정말 고민 많이 하신것 같습니다. 비전보드에서 멋진 마음가짐이 느껴지네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