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D지역 인근에 거주했어서 강의 재밌게 들었습니다.

 

서울이지만 인근 경기도 지역의 신축에 전세 수요를 뺏길 수 있겠구나를 알 수 있었습니다.

(실제 지인 중에 있었으나 직접 생각해본 적은 없었음.)

 

추가로 공급과 전세가격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는 것도 흥미로웠는데요.

기존에는 해당 지역과 인근 지역의 공급만을 파악하고 전세 리스크를 대비했었는데.

수도권의 전세가격은 인근지역만 볼 것이 아닌 수도권 한판을 생활권으로 생각하고 사람들의 심리 상태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평균회귀(자본주의) → 심리 → 공급물량 파악 → 전세가 연결

 

매물임장

  부동산 사장님에게 ‘이 사람은 안 살 것 같다’는 인상을 받지 않도록 행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내가 지금까지 살 것처럼 행동 했었나? 나름 살 것처럼 한 것 같은데 더욱 적극적으로 살 것 처럼 해봐야겠다.

 

  네이버 부동산에 나온 물건은 급매가 아니고, 부사님들은 이미 살 것 같은 사람들한테 연락을 먼저 뿌림.

    → 이번달에 매임 예약이 어려워 제대로 하지 못했는데, 다음달에는 매임을 많이 진행해봐야겠다. 우선 부딪혀보기!!

 

  적극적이지 못한 부사님이면 그 부사님과 계속 진행하려 하지 말고, 타 부동산 사장님께도 컨택해보자.

  그리고 그 때 부사님이 동일한 집주인에게 연락 할 때는 이전 부동산에 연락했었던 같은 매수자임을 매도자에게 드러내야 함. (집주인은 두명이 붙었구나라고 생각 할 수 있으니까.)

 

  진짜 살 것 같이 해야 함.

  집을 보기 힘든 물건은 집을 못 못 보기에 급매가 된 물건일 수 있음.

 

  매수라는 점을 찍고 보유 매도라는 선을 이어야 함. 

  매수가 전부가 아니다를 항상 생각하자.


댓글


새싹나무열매
25. 09. 01. 23:06

복리왕님은 점과 선을 잘 이어가실 분이라 생각합니다. 응원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