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부동산Q&A

미혼자 생애최초 대출은 연소득 7000이하만 가능한가요?

25.09.01

 

연소득 1억정도 되는 미혼 35세 직장인입니다

생애최초 정책대출로 내집마련을 하고싶은데

연소득 7천만원 이하만 가능한 것 같더라구요.

7천만원 이상일 경우에는 받을 수 있는 정부정책 대출이 없을까요ㅠㅠ?

 

추가적으로 정책대출에서 제한하는 연소득 조건에 상여금도 포함인가요?

상여금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고정급여만 보는 것인 지 궁금합니다.

 

정책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ㅠㅠ


댓글


우도롱
25. 09. 01. 03:15

안녕하세요 월급은 거들뿐님~ 말씀하신대로 정책대출은 소득 조건이 있고 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등으로 소득을 확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과거 적격대출이라는 소득 제한 없는 대출 상품이 있었으나 현재는 취급이 잠정 중단되어 소득이 초과되신다면 정책대출 대신 일반 금융권 대출 상품으로 은행을 통해 조건을 확인해보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린쑤
25. 09. 01. 09:04

안녕하세요. 월급은거들뿐님~ 고민이 많으실 것 같네요 ㅠ 우도롱님께서 답변을 잘 달아주셨지만, 저도 아는 선 안에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연소득 7천만원 이상 시 받을 수 있는 정부정책대출 1) 디딤돌대출(생애최초 포함) : 생애최초는 연소득 7천만원 이하까지만 가능하므로 아쉽게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2) 보금자리론 : 생애최초 1인가구의 경우에도 연소득 7천만원 이하까지만 가능하므로 이 역시 이용이 어렵습니다. 👉 따라서 현재 정책대출은 소득 조건 때문에 이용 가능한 상품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2. 연소득 조건에 상여금 포함 여부 - 근로, 사업, 연금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한 종합 소득으로 판정합니다. -> 근로자의 경우, 원천징수영수증 상의 세전 총급여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상여금이 포함됩니다. (다만, 실제 적용 시 은행이나 기관마다 조금씩 세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상품 신청 시 담당자에게 꼭 확인해보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정부 정책 대출은 소득 요건을 넘어 이용이 어려우실 것 같습니다. 대신 시중 1금융권에서 금리가 낮은 상품을 비교해보시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혹시 향후 소득 기준이 완화되거나 새로운 정책 대출이 나올 수도 있으니, 관심 있으실 때마다 최신 정보를 체크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웨스
25. 09. 01. 15:15

월급은거들뿐님 안녕하세요. 연소득 기준은 상여가 포함된 원천징수영수증 기준이고 이 금액이 7000만원이 넘는다면 받으실 수 있는 정책대출은 없습니다. 여러 군데 은행 대출상품 비교해보시고 가장 저렴한 곳으로 고르시면 될 것 같아요. 연소득이 높으면 대출이자가 저렴한 정책대출을 이용하긴 어렵지만 그 대신 대출금액 자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레버리지 효과는 더 클 수 있습니다. 보통 카카오 같은 인터넷은행의 한도가 많더라구요. 참고해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