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투자공부인증

열반스쿨 기초반 오프닝 강의 수강 후기

25.09.02

 저평가아파트 찾는 법 강의에서 투자공부를 마음 먹고 열반스쿨 기초반에서 첫 걸음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새로운 배움과 도전에서 느껴지는 설렘과 긴장감이 기분 좋게 느껴집니다.

 

주우이님의 오프닝 강의에서 다뤄주신 다섯가지의 Q&A는 제가 고민하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더욱 몰입하며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1. 내가 투자자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내집마련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 저는 종잣돈이 부족하고 돈을 불리고 자신을 쌓고싶은 성향인 사람이라는 확신을 얻었고, 현실적으로 지금 제 환경에서는 주담대로 내집마련을 하고도 투자할 수 없을 것 같다는 결과도 알았습니다. 더불어 조금이라도 젊고 일할 수 있을 때 거주의 안정성 보다는 노후대비를 목표로 자산을 키워가고싶다는 마음으로 굳어졌습니다.

     

  2. 종잣돈으로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할지, 지방과 외곽에 두 채를 나눠서 사야하는지 → 아직 실력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는 분산투자의 장점보다는, 관리가 용이하고 오를 때 더 많이 오르는 똘똘한 한 채의 장점이 저에게 더 큰 장점으로 다가왔습니다. 매도타이밍이 중요한 지방과 외곽 투자는 부동산투자 공부를 통해 똘똘한 한 채 투자 후 더욱 현명한 지혜가 생겼을 때 도전하는 방법도 좋겠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3. 저평가와 저가치 구분기준 → 세번째 질의응답에서 저는 제가 이번 수강을 통해 배워가야 할 숙제는 이거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섣부른 판단으로 저가치아파트를 저평가아파트로 생각하지 않도록, 똑같이 잃지 않는 투자라도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환금성 좋고 거주민 선호도가 높은 저평가 아파트를 현명하게 찾는 배움을 목표로 이번 열반스쿨 기초과정에 몰입해보려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저평가아파트와 가격이 적당한 저가치 아파트를 구분지를 수 있는 지혜를 얻자! 

     

  4. 위험도가 높은 오피스텔과 지식산업센터, 도시형 생활주택, 생활형 숙박 시설은 장점만 보면 안되고 수요와 단점도 함께 봐야하며, 이 종류의 투자보다는 공부하고 아는 것+아파트투자에 힘을 쏟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느꼈습니다. 머리로는 알겠는데 실전에선 매우 어려울 것 같은 ‘내가 거주하고 편하다고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다들 매수하고싶어하는 수요가 있는 주택유형을 선택해야한다’ 라는 주우이님의 말씀을 인상 깊게 들었습니다.

     

  5. 내가 해낼 수 있는 양으로 시작하기 + 눈에 보이는곳마다 ‘해야하는 것’ 붙여두기 + 한 번 못했다고 포기하지 말고 3일에 한번씩 작심삼일하기 + 나를 믿지 말고 환경을 믿기 → 작은 성취의 경험이 쌓여 큰 성취를 이루는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결과만을 바라고 행하면 멀게만 느껴지고 중도에 포기할 수 있지만 매일의 성과를 기록하며 부족한 부분을 눈에 보이는 곳마다 기록하여 바쁜 일상에서도 소홀히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내가 그럴 수 있는 환경을 억지로라도 만들면 그 매일이 쌓여 그래도 현재의 나 보다는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달은 작심삼일을 10번 할 수 있더라구요 ! 사실 열반스쿨 기초반을 등록하기 전까지 나름대로 깊은 고민이 많았습니다. 현재도 숨막히게 바쁜데 머리에 더 들어올 공간은 있을까, 과제를 해낼 수 있을까, 진짜 내 능력으로는 어렵지 않을까,, 완벽한 과제 수행과 실력 향상을 확신할 수는 없지만, 알려주신 마음가짐과 작은 실천들을 나에게 적용하여 작심삼일을 열번 한다면 한달 뒤는 어떨까 궁금하기도 하고 할거면 제대로 잘해서 나중엔 저도 멋진 실전투자후기를 소개하고싶다는 꿈도 생긴 것 같습니다. 월부홈페이지나 라이브코칭같이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 마련되어있고, 돈으로 살 수 없는 값진 경험과 인사이트를 내 시간만 낸다면 알아갈 수 있는 커뮤니티 또한 저에게 주어진 또 다른 레버리지라 생각하고 묵묵히 기초반을 완강하는 것이 이번 첫 목표라 생각하고 임해야겠습니다.

댓글


그냥해0
25. 09. 05. 15:37

햇살님의 투자를 위한 열정 응원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