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저자 및 출판사 : 로버트 기요사키, 믿음인
읽은 날짜 : ~ 2025.08.3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현금흐름 #금융지식(세금) #능동적배움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저자이자, 리치대드컴퍼니를 운영하고 있는 사업가이자 교육자이며 투자가다.
2. 내용 및 줄거리
: p.115 - 실수는 학생이 무엇을 모르는지 교사에게 알려 주고, 많은 경우 교사가 가르치지 못한 것을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실수는 학생ㄱ과 교사 모두가 더 똑똑해질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p. 130 - 사분면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것들: 1. 영적 지능; 꿈을 꿀 수 있다는 것을 아는 능력, 2. 정신적 지능; 배울수 있는 지식과 능력, 3. 감정적 지능; 동전의 옆면에 서서 양쪽 면을 모두 이해하는 능력, 4. 신체적 지능;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고, 넘어지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능력
p. 281 - 겸손함은 훨씬 더 큰 세상의 맥락에서 자신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준다. (중략) 기업가로서, 그리고 사업의 소유자로서 네가 할 일은 그들을 위해 일하는 거이다. 네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그들과 그들의 가족을 이 세상의 혹독한 현실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란다.
p. 305 - 데일 교수는 독서와 강의를 학습 원뿔의 맨 아래에 놓았다. 맨 위에는 '실제로 행하는 경우'와 '실제 경험을 시뮬레이션하는 경우'가 있다.
p. 307 - '진정한' 부동산 전문 투자자가 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전통적인 돈이 아니라 부채, 세금, 유령 소득을 사용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을 의미했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학습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 및 나의 행위에 대한 진단을 내려볼 수 있었고, 앞으로의 배움을 어떻게 자세로 받아들이고 행동해야 하는 지 깨닫게 되었다. (학습 원뿔)
또한, 세금은 몰라서 무섭고 피해야 하는 것이지, 제대로 알고 오히려 가깝게 두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물론, B, I 사분면으로 가야지 의미가 있는 것이만!) 앎에 대한 중요성을 느꼈다.
현금흐름을 통한 자산 취득의 의미, 그리고 금융지식의 중요성을 배웠다. (포르쉐 경제학)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2주 후의 기억정도와 개입의 정도를 비교하여 정리한 게 학습 원뿔; 독서 -> 강의는 -> 사진 -> 영상 -> 전시물 -> 시범시청 -> 현장에서 행위 목격 -> 토론 참여 -> 말 -> 극적인 프레젠테이션 -> 실제 경험 시뮬레이션 -> 실제 경험 순으로 2주 후 기억의 정도가 다르며 이는 수동적인 태도에서 능동적 태도로의 개입의 정도 변화를 수반한다.
월부를 통해 배우고, 월부에서 강조하는 독, 강은 배움을 시작이자 내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복기 방법인 것이고, 이를 통한 모의 투자/ 실전 투자는 배운것을 최대한 완벽히 익히는 (그러면서 배움을 뇌리에 꽂는) 행위인 것임을 느꼈다.
더불어 부자아빠 가난한아빠를 읽을 때부터 궁금했던 캐쉬플로 게임에 대해 이번에 진짜 찾아보고 한번 경험해본 것에 대해서 나의 신체적 지능 + 학습 원뿔을 직접 경험했다. 책 내용을 이해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좀 더 배움을 여러 자극으로 익히고 기억하는 아주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할 엘로드 <미라클 모닝>, 마이클 싱어 <상처 받지 않는 영혼>, <마이더스 터치>, <부자 아빠의 자녀 교육법>
마무리 하며,
8월 돈독모를 신청했었지만, 개인적인 이유로 기한내 과제작성을 하지 못해 참여하지 못했던 많이 아쉬웠는데,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책읽기를 했던 한 달을 보냈다는 점에서 실망을 실망으로 두지 않고 극복하려는 나의 태도를 칭찬하고, 의미있는 책읽기를 할 수 있어서 감사한 한 달이라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
경제자유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