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법무사 관련해서 고민이 있어 조언 부탁드리려고 글 남깁니다.
잔금일이 3주 정도 남았는데요, 부동산 사장님께서 아시는 법무사 분을 소개받아 견적을 받아봤습니다.
제가 준비해야 할 서류부터 알려주셔서 확인해봤는데,
하늘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수수료 항목이 맞는지 헷갈리네요.
강의 교안이랑 다른 분들 Q&A도 찾아봤는데 확실치 않아서요.
혹시 수수료가 과다하게 책정된 경우, 법무통에서 시세를 확인하고 그걸 근거로 협상을 해보는 게 좋을까요?
만약 협상이 잘 안 되면 법무통에서 다른 법무사님을 찾아 진행하는 게 나을지도 고민됩니다.
부동산 사장님은 본인이 아는 법무사랑 진행하면 일이 더 편하다고 하시는데…
이럴 때 선배님들은 보통 어떻게 협상하시고 선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댓글
안녕하세요 미미미맘님 :) 일단 잔금 축하드립니다~~~~~~~! 말씀해주신 항목들 중 부가가치세, 등록대행료는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의 통상적으로 교통비/일당 항목을 조절하면서 금액을 협의하기도 해요. 법무통을 통해서 가장 저렴한 법무사 비용을 찾아보신 후, 그것과 비교해서 제안해보셔도 좋겠어요! 잔금 마무리까지 잘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미미미맘님 일단 너무너무 축하드립니다. 일단 표시해준 등록대행료, 부가가치세, 제증명/누진료, 채권매입대행, 교통비일당들은 일단 조정이 가능한 것들이고 험블님 말씀처럼 법무통이나 지인들에게 소개를 받아서 견적을 받아보시고 비교해서 협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금액 자체는 비싼편은 아니니 잘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미미맘님 안녕하세요~ 세금, 인지대, 등기수수료, 채권, 보수료, 등본대, 부가세 이런 항목은 필수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 외에 항목에 대해서 더 금액이 나온 부분은 저라면 다 포함해서 30만원 아래로 말씀드릴 것 같아요. 수수료 + 일당 해서 40만원에 가까우니까 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꼭 사장님 통해서 안하셔도 됩니다. 주변 지인 중에 아는분 있으면 지인이 25만원에 했다고 해서 연락드렸다~ 이렇게 하면 가격 조율해주시기도 하더라구요. 매수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