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1980년대 부동산은 미친듯이 올랐다.

1991년 이후로 급격히 빠짐. 1기 신도시가 들어오면서 가격이 안정화

1999년도 IMF 서울 가격이 가장 저점

2009년까지 상승

2023년 서울  전 저점

지난 시기를 보면 부동산 시장은 하락후 전고점을 뛰어 넘는 상승을 했다.

 

부동산 투자의 원칙

  1. 저평가
  2. 환금성
  3. 수익률

규제는 집 각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투자자가 아니면 1주택이 유리하다.

시세 차익 부동산-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판다.

부동산의 가치는 토지가 + 건물가  

 건물이 30년  정도 되면 가치가 없다.

토지는 시간이 지나면 가치가 오른다.(토지는 한정적이므로)

부동산의 가치가 오를려면 건물가의 감가상각률보다 토지의 가치가 많이 올라야 한다.

그러므로 같은 가격의 투자금을 가지고 토지의 가치가 높은 곳을 선택해야 한다.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아직은 배우는 단계라 적용해보고 싶은 점보다 고민되는 점이 더 많아요.ㅜㅜ

 

월부에서 공부 하게 된 계기중 하나가 실거주를 상급지로 갈아 타고 싶은 계획에서 시작하게 되었는데 집을 보러 다니면서 가지고 있는 금액으로 어떤집을 골라야 하는가? 살고 싶은곳과 가치가 있는 곳의 선택에 고민하게 됩니다. 

 광주의 부동산 시장이 구축은 계속 보합세 이거나 더 떨어지고 있고 높은 분양가를 내건 새 아파트들도 미분양으로 몇천만원씩 할인을 해주거나 전세로 돌리고 있는 상황에 미분양 아파트를 들어가도 되는지?  상급지 실거주는 포기하고 돈을 더 모아서 수도권에 갭투자를 더 고민해야 하는지 됩니다. 토지의 가치가 높은곳 -직장, 교통, 학군이 좋은곳 

너바나님은 중심지역(강남, 서초, 송파)가 오르면 나머지 지역도 오른다고 하셨는데 광주도 다시 오를것을 기대해도 될지 26년 입주하는 물량이 너무 많아서 더 떨어진다는 소식들도 들리는데 공부를 더 열심해서 현명한 선택을 하고 싶습니다.

 


댓글


요니스
25. 09. 16. 22:48

고민이 많다는건 이제 공부하고 질문하고 행동하자는 증거!!!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