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추천도서후기

'몰입' 독서 후기

25.09.15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두 번째 이야기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3. 읽은 날짜: 2025.9.15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9

 

STEP2. 책에서 본 것 & 깨달은 것 & 나에게 적용할 점

 

p.74 먼저 그 정보가 입력될 당시 자극의 세기를 기준으로 한다. 자극의 세기가 크면 해마는 정보가 중요하다고 판단해장기기억으로 보내고, 자극의 세기가 작으면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보라고 판단해 폐기한다. 여기서 자극의 세기가 세다는 것은 정보가 들어 올 때 놀라거나 즐거워하는 경우를 말한다. 

p.75 자극의 세기가 강하지 않더라도 정보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해마는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해서 장기기억으로 보낸다. 

>>재독, 강의 복습. 강의 듣고 정리하고 자주 읽기. 컬럼 필사 10억 달성기. 조장님 방식 좋던데!

바로 해보자. 최근 것부터

 

 p.81 일단 목표를 설정하면 성공 혹은 실패라는 커다란 자극이 만들어지면서 그것을 추구하는 행위에 의미가 생긴다. 다시 말해 나의 행위에 커다란 자극과 의미를 만들어 그 행위에 대한 내적 중요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 목표 세우기. 1호기 선언한다!! 가을 명확한 목표

 

p.91 성공 체험을 많이 해봐야 긍정적인 감정도 생기고, 이것이 보상으로 작용해 지속적으로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힘도 생긴다. 이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작은 성공에도 크게 기뻐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실패를 경험했을 때는 좌절의 부정적 감정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좋다.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대해 우리는 대단히 수동적이다. 

따라서 매일매일 추구하는 목표는 성공 가능성이 높되, 그 방향이 중장기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과 일치해야한다.

 >> 책을 읽고 독서록을 쓰는 것만으로도 완독을 했다는 성취감을 준다. 갑자기 자신감이 뿜뿜한다. 

해냈다는 자신감 때문인 거 같다. 옳지! 이거다!! 내가 이 감정을 잊고 있었다. 

 

p.108 지적인 능력을 100퍼센트 활용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표로 삼는 것이다. 내가 해결해야 할 미지의 문제를 생각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내 인생에서 가장 값진 시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p.121 규칙적인 운동과 슬로우 싱킹을 하면서 이런 문제는(불면증) 자연스레 해결되었고, 불면증도 깨끗이 없어졌다. 그 이후로 나는 몰입을 하지 않을 때도 잠을 잘 때 슬로우 싱킹을 하는 버릇이 생겼다. 슬로우 싱킹을 하면 밤에 잠이 훨씬 잘 온다.

p.122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은 뇌가 활동을 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럴 때는 차라리 생각을 해서 두뇌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  

 >> 수면과 선잠은 창의적은 아이디어를 얻거나 몰입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루 6-7시간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졸리면 바로 선잠을 자라.

 >> 사무실, 임보 졸려서 집중이 안될 때는 선잠을 자자. 20분 내로. 집중력을 올려줄 것이다. 

성공체험 많이 하기. 결국은 목실감. 하루의 목표를 달성했다는 작은 성취감이 긍정적인 감정을 만들고, 그 감정이 보상으로 작용해 지속적으로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p.162 우리의 뇌는 감정과 현실을 일치 시키려는 경향을 갖는다고 한다. 내가 우울하면 세상이 어둡게 보이고, 내가 즐거우면 세상이 밝게 보이는 것이다. 

 >> 결국 웃으면 복이 와요가 맞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한 거. 웃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자 그것이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p.163 행복을 위해 우리가 할 일은 긍정적 화학물질을 분비 시키는 활동들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내 삶에서 쉽게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다. 

 >> 내가 행복을 찾는 포인트. 주로 해냈다는 성취감, 자기 성장인 거 같다. 그리고 그렇게 열심히 살고 쉬는 시간이 주어졌을 때... 아무것도 안해도 되는 그 순간 너무 행복하다.  

 

p.176 수동적인 몰입을 유도했던 구동력이 없어진 상태에서는 능동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구동력을 만들어야 한다. 

몰입 훈련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대체로 능동적인 구동력만으로 몰입의 높은 장벽을 넘기가 힘들다. 

구동력이 크지 않더라도 장벽을 낮추면 보다 쉽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몇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1. 새로운 목표를 설정 해야한다. 예전과 같은 위기감이나 절박함이 없는 상태에서 지금보다 더 많은 돈을 벌어야 할 명백한 이유를 찾아야 한다. 

2. 슬로우 싱킹을 통해 끈질기게 생각해다 한다. 

3. 몰입의 장벽을 낮추기 위해 매일 1시간 이내의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한다. 

 

p.179 고민의 비율을 줄이고 생각의 비율을 늘리기 위해서는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과 슬로우 싱킹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 운동하고 싶다. 집중 안되고 힘들 때 쥐고 앉아서 괴로워하기 보다 운동. 일주일에 한번 수영하기 

스쿼트 하루 50개, 프랭크 3분 다시 도전! 

 

p.180 걱정을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내적 중요성이 올라가야 우리 뇌가 문제 해결을 목표로 활발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두뇌 활용법의 핵심이다.  

 

p.189 몰입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대상의 폭도 최대한 좁혀야 한다. 문제의 핵심을 계속 파도들다 보면 점점 좁혀저서 최종적으로 남는 핵심은 하나의 점처럼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모든 생각과 노력도 이 작은 핵심에 쏟아붓게 된다. 이 때문에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는 어떻게 보다는 수렴적 사고를 유도하는 왜를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p.201 몰입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p.206 우리가 무엇인가에 시간을 쏟는 것은 우리 인생의 한부분과 맞바꾸는 것이다. 특히 직장에서 일을 하는 시기는 대개 인생의 황금기다. 내가 하는 일이 과연 꽃다운 나의 청충과 바꿀만한 가치가 있는지 잘 생각해 봐야한다. 

그것은 어떠한 일을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일을 하느냐의 문제다. 

 

p.207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생각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 번에 한 문제씩 다루는 것이 몰입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p.216 평균적인 노력을 하고 평균적인 삶을 살면서 성공하기는 힘들다. 각 분야에서 정상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 모두 비정상적인 노력을 하고 비정산적인 삶을 살았다. 몰입은 최선의 삶을 구현하는 한 방법이지만 분명 평균적인 삶은 아니다. 

 

p.219 생각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으면 평생 생각할 시간이 나지 않는다. 나중에 시간 날 때 생각해야지 하고 계속 미루다보면 죽는 날까지 생각할 시간을 만들 수 없다. 특히 열심히 하는 사람일수록 바쁘게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일부러 시간을 내지 않으면 생각할 여유가 생기지 않는다. 

 

p.234 생각을 잘못하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면 아무리 생각을 해도 문제를 해결할 확률이 낮다. 그러나 먼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한 후 그것을 집중적으로 생각하면 해결할 확률이 낮다. 그러나 먼저 문제의 핵심의 파악한 후 그것을 집중적으로 생각하면 해결 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p.259 같은 생각을 여러 번 반복하면 습관으로 굳어버린다. 성격도 생각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그러니 생각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고 그 상태를 단단히 유지하는 새로운 습관을 들여라. 그러면 뇌 구조가 거기에 맞게 변경될 것이다. 

 

p.272 어린 나이에 쾌감에 쉽게 길들여지는 컴퓨터 게임에 노출되기 전에 보람이 수반되는 재미를 경험하도록 해야한다. 소모적인 행위에 대한 시냅스가 형성되기 전에 생산적인 재미에 대한 시냅스가 만들어지고 뻗어나가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보람이 수반되는 재미를 충분히 경험한 아이는 보람은커녕 후회만 남는 일에 쉽게 중독되지 않는다. 

 

p.302 행동이 타의에 의해 결정되면 수동에 가깝고, 자의로 결정하면 능동에 가깝다. 

외부 자극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이 크면 수동성이 증가하고 내부적 요인이 크면 능동성이 증가한다. ‘자유의지’

 

p.307 결과적으로 주도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본능에 이끌리는 삶을 살게 된다. 

긍정적 감정을 외부의 자극에 의존하는 것은 효율적이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의식의 통제능력을 발달 시키기 위해서는 TV 시청보다는 독서가, 독서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해 생각하는 활동이 더 바람직 하다. 

 

p.308 자신이 하는 일에서 긍정적 감정을 얻어야 행복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몰입 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같은 내용들이 제법 반복된다.

성공을 위해서는 몰입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1) 명확한 목표설정하기 2) 성공체험을 통해 긍정적 감정 가지기

3) 끈질기게 생각하기. 대상의 폭을 좁혀서.. 핵심을 파악하고 핵심에 쏟아 부어라. 왜? 라는 수렴적 사고 에 집중하기. 4) 슬로우 싱킹 &  운동 & 충분한 수면이 기본이 되어야 가능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10억 달성기 읽고 요약. BM 포인트 내일부터

2) 작은 성공. 결국은 목실감 

3) 일요일밤 다음주 계획 / 복기시간 ... 결국은 튜터님이 다 하라는 것들 이네 ㅎㅎ 참 훌륭하신 분이다... 

4) 운동. 하고 싶은데 시간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


댓글


해빨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