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시작 전>
서울을 모르는 저로선, 기대됬던 부분의 강의였습니다.
<1>동북권역 지역분석
서울임보 작성을 하며,
어떻게 틀을 잡아야 할지 고민이 되는 지점이 있었습니다.
BM할점 위주로 기억하려 합니다.
BM
-서울은 1. 전체를 장표로 놓고 임보작성 + 2. 인접지를 한번 더 깊게 본다
-월평균 소득, 상위중위하위로 3개 구분하는 것도 괜찮아보인다: 시각적으로 깔끔하게 보임
-지도를 보며 지역간 연계를 봐야한다: 예를 들면, 환경
-공급: (서울경기인천을 다 보면 좋겠지만..) 서울 전체로 한 번 본다.
*전체 년도 공급 + 이후 3년동안의 공급
*공급 달력, 서울은 1장..
<2>생활권별 특징
서울을 잘 모르는 저에게
흥미있게 들리던 내용이었습니다.
중간마다 헷갈릴만한 질의응답내용을 넣어주셔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Q. 역에서 먼 신축 vs 역세권 구축
Q. 최종 선택시 재건축/리모델링 이슈 반영 여부
Q. 5급지 30평대 vs 4급지 20평대 (같은 연식)
Q. 입지 덜 좋은 서울 뉴타운 vs 서울급 경기도 신축 (같은 연식)
<3>비교평가 통한 저평가 단지 찾기 등
저는 임보 막바지에 결론를 내리며
비교평가를 할 때마다 어려움을 겪습니다.
(항상 어렵습니다. 항상..)
다양한 사례를 수없이 보면서도,
직접하면 참 어렵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도 좋은 사례를 접해서
앞으로 임보쓰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느낀점>
상세하게 알게 되었고,
모를만한 부분을 예상해서 짚어주셔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됬습니다.
좋은 강의 준비해주신 양파링님 감사드립니다.
댓글
트롤트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