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0호기가 신고가를 찍는데, 전고점 넘은 상급지 1호기로 이사해야 할까요?

25.09.23

안녕하세요. 고민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저는 하남 감일에 살고 2주택자입니다.

2025년 하반기 0호기 매도 이후 일시적 비과세 특례를 받고

몇달뒤 0-1호기를 매도해서 서울 동작구 대장아파트를 가려고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1)하남 감일지구가 3호선 연장으로 신고가를 연이어 찍고있는 가운데 2032년 3호선 완공시 높은 매매가 상승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2)이사가고자 하는 동작구 대장아파트는 이미 전고점을 넘어섰으며 매수시 수익률이 크지 않을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하락시 큰폭의 손해도 예상됩니다. 또한 취득세, 대출이자, 부동산중개비, 계산해보면 대략 2억여원의 비용이 들어가니 동작구 기대수익률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3)대안으로 감일아파트를 전세주고

받은전세금과 여유자금으로 서울3~4급지 매수해서 들어가 살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4)제가 생각하기에 동작구 이사는 기대수익률이 비슷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밖에 되지 않아 큰 이익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5)투자코칭으로 여쭈어야 하지만 너무 고민이 깊어 게시판에 글 남깁니다. 방향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지니플래닛creator badge
25. 09. 23. 12:42

안녕하세요 달빛 모험가님, 1호기의 방향에 대해 고민이 되시는 군요. 언급하신 것 처럼 지금 주신 질문은 투자코칭을 받아보셔야 보다 명확한 방향이 그려질 것 같습니다. 결정하시기 전에 꼭! 투자코칭으로 거인의 어깨를 빌려보시기를 추천드려요, 그 전에 지금 고민이신 부분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조금 말씀드리면, 기존에 가려고 하셨던 던지가 '이미 전고점을 넘은' 아파트 라는 부분입니다. 이미 이 부분에 대한 리스크를 알고 계신 것 같은데요. 전고점이 넘은 단지에 들어갈 경우, 하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고도 충분히 버틸 수 있고 그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있으셔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시간이 가면 모든 단지가 전고점이 넘고, 이 단지도 더 오를 테지만 규제가 강화되고 시장이 변하면 마음이 힘든 구간이 길어질수도 있으니까요. 따라서, 급지에 상관없이 아직 가치보다 싸고 감당가능한 단지를 찾아 투자하시는 방향으로 가시려는 것에 저도 응원드리고 싶네요. 하지만 그 구체적인 방법면에서 기존 0호기보다 더 가치 있는 단지가 있다면 0호기를 유지하지 않는 방법도 생각해볼 것 같아요. 여러 시나리오로 앞마당 안에서 후보 단지를 찾아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꼭 투코 받아보세용 :) 달빛님 화이팅!!

우도롱
25. 09. 23. 18:53

안녕하세요 달빛모험가님~ 시장이 뜨겁다보니 고민이 많이 되실 것 같아요. 2채를 정리하고 똘똘한 1채로 가는 부분은 개인의 선택이기는 하나 기존의 2채 자산 가치가 어떤지, 갈아타려는 1채의 자산이 얼마나 좋은지에 따라 결과 차이가 커지고, 이 부분은 개인의 실력에 달려있습니다. 나는 덜 벌더라도 동작구 대장 아파트를 갖고 싶다면 선택할 수 있겠으나 자산의 측면에서는 내 실력에 대한 인지가 중요할 것 같아요. 다만 0호기가 비과세 혜택이 있으니 갈아타기가 유리한 측면도 있으니 코칭의 도움을 받아 현명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응원드립다!

제이든J
25. 09. 24. 07:06

달빛모험가님 안녕하세요! 정말 고민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고민하시는 점을 스스로 글로 잘 정리해보신 것 같습니다! 동작구 대장 아파트 좋은 것은 맞는데 신고가를 찍었고 그만큼 떨어질수도 있다고 볼 수 있을것 같아요. 다만 소득이 충분하시고 감당 가능하시다면 내집마련으로는 할 수도 있겠으나, 지금 2주택을 가지고 있으신 것도 세금이나, 보유측면에서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확히 어떤 단지냐 따라 다르지만, 똘똘한 1주택 vs 다주택 가보아도 나중에는 대세상승장을 만나면 다 상승할거라 생각합니다. 거기에 지금 이미 오른 자산을 갈아타기 할 것 같지는 않을것 같아요. 투자코칭 파이팅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