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1. 책 제목 : 대화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찰스 두히그
3. 읽은 날짜: 9/24
4. 총점 (10점 만점): 9 / 10점
p.83 진정한 목적은 승리를 거머쥐는 것이 아니라 상대편을 설득하여 서로 협력하고 그때까지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 협상은 전투가 아닌 창의적 행위 “상대가 당신의 관심사를 이해해주길 원한다면, 당신이 먼저 그들을 인정한다는 것을 보여주어라.”
p.89 때로는 사람들은 논리나 이성에 어긋나는 선택을 함께하길 원한다. 동정심을 발위하고 가치관을 논하고 공동의 결정에서 옳고 그름의 문제를 거론하고 싶어한다. 이런 종류의 대화에서 객관적 사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누군가 자신의 감정을 말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은 상대와 논쟁을 벌이는 대신 공감하고 기쁨과 분노와 자부심을 공유할 생각인 것이다. … 이런 종류의 대화에서는 비용과 편익을 분석하는 대신 지난 경험에 비추어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까를 물어서 결정한다.
p.100 타인에게 맞춘다는 것은 상대의 마인드셋, 즉 그가 어떤 종류의 논리를 설득력 있게 여기고 어떤 말투와 방식을 타당하게 받아들일지 파악한 다음 같은 언어로 말하는 것이다. … 누군가 스토리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설명한다면 그는 해결책이 아닌 나의 동정심을 원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상대가 모든 사실을 분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면 그건 그가 감정적인 대화보다 이성적인 대화에 관심이 있다는 신호이다.
p.122 상대의 신발을 신으려는 노력이 올바른 접근법이 아닐지도 모른다. 어차피 그건 불가능한 일이니까 .그 대신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질문을 하는 것이다. 그 사람의 삶에 관해, 느낌과 기분에 관해, 희망과 두려움에 관해 묻고 처절함과 실망, 기쁨과 포부를 듣는 것 말이다. … 감정을 나누는 대화가 그토록 중요한 이유가 그것이다. 모든 대화는 참가자의 감정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수면위로 끌어올려 상대와 공유하고 상대의 감정도 공유할 때 비로소 서로 일치할 방법을 찾을 수 있다.
p.201 행복한 부부와 불행한 부부는 싸움중에 통제권에 접근하는 방식이 서로 달랐다. 불행한 부부사이에서 통제에 대한 충동은 상대를 조종하려는 시도로 표출된다. …행복한 부부 사이에서 주도권에 대한 열망은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띠었다. 이들은 상대를 통제하려고 하는 대신 자기 자신이나 환경, 또는 갈등 그 자체를 통제하는 데 집중했다. … 화가 심해진다고 생각되면 잠시 쉬는 시간을 가졋다. 기분이 나쁘다고 소리를 내지르는 대신 노트에 적어서 마음을 가라앉히려고 애썼고, 심호흡했다. … 행복한 부부는 환경을 통제하는 데 더 집중했다. 갈등이 불거진 순간에 바로 싸움을 시작하는 대신 좀 더 안정한 환경이 마련될 때 까지 힘든 논의를 미뤘다. 마지막으로 갈등 자체의 경계를 통제하는 데 좀 더 신경 쓴다. 그러나 불행한 부부는 한 영역에서 어긋난 것을 다른 영역까지 확장시킨다.
p. 244 우리는 종종 하나의 정체성을 고수한다. 그러나 그것이 결국 자신의 시야를 제한하는데 세상을 오로지 그 렌즈 하나만을 통해서 보게 되기 때문이다. …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대화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다중의 정체성이 있다는 점을 일깨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좋은 대화란 무엇일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다. 나는 내 가족 / 지인들과 좋은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일까? 마냥 그렇다고만 답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실 대화 자체의 유형이나 좋은 대화 / 나쁜 대화라는 관점을 가져보지 못했었다. 그저 나와 누군가의 정보 / 감정을 전달 하는 역할로서의 대화를 많이 생각해왔었다. 그 대화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가족/부부와의 대화가 참 어려우면서도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상대방과 내가 서로의 차이를 알아가면서 협력적으로 좁혀가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그리고 내가 먼저 상대의 관심사를 이해해주고 그들을 인정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러한 대화가 누군가를 이기기 위함이 아니라 이해하는 창의적 과정이라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자신과 환경과 갈등의 경계를 통제하는 이 세가지에 집중 (p.203)
P.319 중요한 것은 가까워지길 원한다는 것, 이해하길 원한다는 것, 깊은 대화를 나누길 원한다는 것이다. 어렵고 두렵더라도 그냥 돌아서 가버리는게 더 쉽더라도 말이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완대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