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71조 행자부]

  • 23.12.22


2주차에 공지된 수익률 보고서를 보고



와 이거 재미있겠다~! 하고 작성을 시작했습니다.


샤샤님 글을 보고 하나씩 따라하다 보니 재미있고 즐거웠습니다.


처음 쓰다보니 대략 1시간 정도 찾아보고 쓰고 했던거 같아요.


거의 다 쓰고 마지막 고점대비/저점대비 수익률을 작성하고 마지막 사진은 조모임 이후에 현장 확인하고

사진을 넣어야 겠다고 하고 마무리를 해놓았습니다.


과제를 다하고 잠시 생각에 빠집니다..


이걸 하라는데로 다 했는데,,, 뭐때문에 작성하는거지?? 이렇게 해서 결국은 뭘 뜻하는걸까??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너바나님이 전달하는 의미는 무엇일까??


아무리 다시 쓴걸 훑어 보아도,,, 도대체가 보고서가 뭘 위한것인지를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이번 3강이 기다려지고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제목만 봐도 두근두근 했거든요~!ㅎ 이제 정말 투자자로써 내가 뭔갈 해볼수 있는거를 배우는구나!!



첫 강의는 양파링님의 수익률 보고서 잘쓰고 바로 투자하는 법!


왜 보고서를 써야하는지

어떻게 보고서를 써야하는지

이걸 어떻게 써먹어야 하는지


지금 월부에서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선배/튜터/멘토님들

누구하나 이과정을 거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며,

저또한 선배들의 뒤를 따라 열심히 작성해보겠습니다.


결국 수익률 보고서는 감정적이 아닌 객관적 기준으로 좋은 아파트를 찾고 적절한 때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같은 가격으로 더 가치 있는 것을 제대로 골라내고 수익률을 극대화 하는것,


각 평가 기준인 위치, 입지평가(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 등

하나하나 의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로 인해 선택한 부동산의 자산가치가 달라지는 것 또한 강의로 느꼈습니다.


양파링님의 강의 중 마지막 문구가 가슴을 울립니다.


"처음은 누구나 어려워요, 틀려도 괜찮아요, 시작하는게 가장 중요해요.

완벽주의가 아닌 '완료주의'!

일단 시작해보세요!"



완벽을 생각하니 더 힘들고 어렵고,,,


말씀처럼 완벽이 아닌 완료에 의미를 두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 마무리 하겠습니다.



두번째 강의는 주우이님의


초보투자자가 겪게 될 모든것


주우이님은 처음 월부 유투브에서 보고

저분 뭐하는 분일까? 그냥 월부 MC인가?


투자자라고 절대 생각을 못했습니다^^;;;;


제가 그 옆에 나오시는 그날의 고수들에 더 집중했나 봅니다ㅜ


어? 이분이 강의를 하네? 그냥 MC가 아니였네?,,,,


강의가 시작되면서 정말 주우이님에 몰입한거 같아요.


물론 양파링님도 이번에 강의 보면서 진정성을 느끼며 빠져들었는데


주우이님은 뭔가,,, 강하게 빨려들어가는 느낌이 드네요;;


주우이 님의 강의도 수익률 보고서를 왜 써야 되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여러 말씀들을 해주셨습니다.


시장이 좋지 않을때 가격이 왜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선입견을 버려라 -

지역의 입지와 가격을 알아야 비교 평가를 할 수 있다. - 보물찾기 -


앞마당을 늘리고 임장과 임장보고서를 쓰는 습관을 만들고

꼭!! 마침표를 찍고 넘어가라! 하셨습니다.


의미없는 경험이 없듯이 의미없는 임장도 없다.


꾸준히 늘려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비교가 되고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을 수 있다.

비교가 쉽고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으려면 내가 앞마당이 많아야 된다.


주우이님은 남들보다 느렸지만 끝까지 완주를 하셨다고 합니다.

본인이 임장위치를 어떻게 선택하였는지, 어떤식으로 방향을 잡아 임장해 보면 좋을지

알려주시더라구요.


여기서 부자의 행동을 따라하라!

ㅎㅎ 주우이님 알려주신 곳을 일단 시작해 보겠습니다.

마침표를 꼭 찍고 넓혀 나가겠습니다.


말씀하신 부분을 참고하여

제가 사는 지역 또는 직장 주변으로 먼저 시작해 보겠습니다.


"임장보고서의 끝은 임장보고서를 작성하지 않는 것입니다."


저도 임장보고서를 작성하지 않고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는 날까지 달려보겠습니다.


댓글


행자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