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추천도서후기 쓰는 양식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회복탄력성
저자 및 출판사 : 김주환 /위즈덤하우스
읽은 날짜 : 2025.9.27~9.29.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적 뇌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원래 제자리로 돌아오는 힘을 일컫는 말로, 심리학에서는 주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연세대 김주환 교수는 회복탄력성으로 어려움을 이겨낸 사람들의 사례를 소개하고, 수십 년 간 이어온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프롤로그
P8 진정한 행복은 외부적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내면으로부터 우러나는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어떤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내면적 결단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P9 강력한 회복탄력성의 기반이 되는 진정한 행복감은 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오는 것이다. 스스로의 결단을 통해 스스로 행복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과 관계가 건강한 사람이다. 회복탄력성을 약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부정적 정사는 두려움이다.
PART 01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P21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다. 성공은 역경과 시련을 극복해낸 상태를 말한다.
P22 역경이야말로 사람을 더욱더 강하게 튀어 오르게 하는 스프링보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
P39 제가 가장 두려워했던 실패가 현실로 다가오자 오히려 저는 자유로워질 수 있었습니다. 실패했지만 저는 살아 있었고, 사랑하는 딸이 있었고, 낡은 타자기 한 대와 엄청난 아이디어가 있었죠. 가장 밑바닥이 인생을 새로 세울 수 있는 단단한 기반이 되어준 것입니다.
P45 회복탄력성은 바로 이 ‘기억하는 자아’의 문제다. 기억자아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끊임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자아다. 이 기억자아가 자신의 고난과 역경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긍정적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 바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라 할 수 있다.
P58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과 자아존중심을 길러가며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고 사랑하고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맺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이것이 회복탄력성의 근본이다.
→ 회복탄련성은 역경과 어려움을 부정적인
PART 02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
P75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그리고 긍정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강화시킬 수 있는지 대해 살펴볼 것이다. 긍정성의 강화다. 긍정성을 습관화하면 누구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긍정성을 습관화한다는 것은 뇌를 긍정적인 뇌로 바꿔나간다는 뜻이다.
p92 긍정적인 사람은 더 착하고 좋은 사람이다. 또한 배려나 봉사 활동은 사람을 더욱더 행복하게 해주고 긍정성을 높여 준다. 긍정성의 선순환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PART 03 회복탄력성의 첫 번째 요소 · 자기조절능력; 감정조절력+충동통제력+원인분석력
p95 자기조절능력은 첫째로 스스로의 부정적 감정을 통제하고 긍정적 감정과 건강한 도전의식을 불러일으키며, 둘째로 기분에 휩쓸리는 충동적 반응을 억제하고 , 마지막으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이고도 정확하게 파악해서 대처 방안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이다.
p115긍정적 정서는 사고의 유연성을 높여주고,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증가시켜 인지 능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밝혀냈다.
p121 중요한 순간에 스스로에게 ‘사탕’을 주어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습관화된 사람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는 뜻이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어떤 중요한 일이 발생했을 때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p138 나의 삶은 어디 먼 미래에 있는 것이 아니다. 하루하루, 한순간 한순간의 적분이 곧 나의 삶이다. … 행복은 ‘성공의 결과’라기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행복하다기보다는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행복해진다기보다는 행복해져야 회복탄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p141 우리 삶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들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결과도 가져오지 않는다. 특정한 결과를 가져오려면 우리의 신념체계에 의해 해석되고 매개되어야 한다. 이 신념체계가 곧 스토리텔링의 방식이다.
p143 강한 회복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을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p146 나의 정체성은 나의 기억에 잇는 것이다. 내가 누구냐 하는 것은 내가 나의 경험에 어떠한 스토리텔링을 하느냐에 의해서 결정된다.
PART 04 회복탄력성의 두 번째 요소 · 대인관계능력 ; 소통능력+공감능력+자아확장력
p155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체로 뛰어난 사회성을 지닌 경우가 많다. 역경과 위기가 닥쳤을 때,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주위 사람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게 되는데 어려울 때 자신을 도와줄 사람을 여럿 확보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더 옳다.
p184 마음속으로 무엇인가 생각할 때 자신의 생각과 감정과 믿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마음 상태에 대해서도 늘 동시에 생각하기 마련이다.
PART 05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p219 강한 회복탄력성을 지니기 위해 필요한 것은 결국 두 가지다. 하나는 자기조절능력이며 다른 하나는 대인관계능력이다. 긍정적 정서를 키운다는 것은 곧 스스로 행복해짐으로써 자기통제력을 높인다는 뜻이고, 자신의 행복을 타인에게 나눠줌으로써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킨다는 뜻이다.
p233 낙관성을 지닌 사람은 무엇인가를 해낼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있으며, 자신의 한계 밖으로, 일상 너머로 뻗어나가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지닌다. 낙관성은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며, 익숙한 현실과 반복적인 일상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고 새로운 영역으로 스스로를 확대시켜 나가려는 자세를 유지시켜준다.
: 월부에서 부동산 투자를 시작했을 때 목표가 있고 이유가 있었기에 기꺼이 힘든 것을 즐기고 끝까지 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포기를 생각한 적은 없지만 힘들고 지칠 때마다 월부와 멀어지고, 시간을 보내다가 동료들의 투자 소식이 들리면 다시 후회하기를 반복했다. 목표를 향해 가는 길에 지치지 않고 금새 루틴에 돌아 오기 위해 회복탄력성이 높이고자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사고하는 것을 꾸준히 의식하고 훈련이 필요 한거 같다.
어떤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다시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지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다시 생각해볼수 있었다.
: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긍정, 행복, 성공 , 회복은 삶을 살아가면서 잊지 말아야 할 키워드이다. 도전을 하게 되면 우리가 겪게 될 과정들을 낯설기 때문에 두려워 하게 된다. 두려움을 딛고 도전할 수 있게 하는 힘이 바로 회복탄력성이다. 사건 그 자체로는 좋거나 나쁘거나 행복하거나 슬프거나가 없다고 한다.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생각하느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것은 바라보는 나의 관점, 생각에 따라 달렸다는 말을 기억하고자 한다.
: 김승호의 생각의 비밀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
꿈얼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