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열중47기 우리 2제 7열하게 독서하고 강남아파트사조_널시티] '그릿' 독서후기

25.10.01

 

 


STEP1. 책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앤절라 더크워스, 비지니스 북스

3. 읽은 날짜:  2025.09.25 ~ 2025.09.30

4. 총점 (10점 만점):  7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그릿(Grit)의 정의
    • 저자는 그릿을 “오랜 기간 지속되는 열정(passion)과 끈기(perseverance)”로 정의한다.
    • 단발적 노력이나 재능이 아니라 장기 목표에 대한 지속적 헌신이 핵심이다.
  • 재능과 노력의 관계
    • 저자가 자주 반복하는 공식(요약):

      재능 × 노력 = 기술 (skill) 기술 × 노력 = 성취 (achievement)

      즉, 노력은 기술을 만들고, 다시 그 기술 위에 추가 노력을 쌓아 성취를 만든다.

  • 그릿을 구성하는 네 가지 심리적 자산
    • Interest(관심): 지속할 수 있는 주제/활동을 찾는 것
    • Practice(연습): 의도적이고 반복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
    • Purpose(목적): 자기 일이 타인에게 의미가 있음을 인식하는 것
    • Hope(희망): 실패해도 다시 시도하는 회복 탄력성과 계획성

 

    또다른 관점의 해석, 

    Growth (성장) ,   Resilience (회복 탄력성),   Intrinsic motivation (내재적 동기),   Tenacity (끈기)

 

  • 그릿은 고정된 특성이 아님
    • 유전적 재능만으로 설명되지 않으며, 훈련·문화·양육·환경을 통해 어느 정도 개발될 수 있다고 본다.
    • 부모/교사/기관의 기대와 지원이 중요하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 단기 성과에 집착하면 ‘지속력’은 길러지지 않는다
    • 빠른 성공(한 방)의 유혹에 굴복하면 장기적인 실력 축적 기회를 잃는다. 

      진짜 경쟁력은 ‘한 분야를 오래 파는 능력’이다.

  • 재능은 출발점일 뿐, 노력의 구조화가 승부를 가른다
    • 재능이 있어도 연습을 구조화하지 않으면 기술로 연결되지 않는다. 

      반대로 재능이 평범해도 의도적 연습을 지속하면 성취가 따라온다.

  • 그릿은 ‘방법’과 ‘환경’의 결과다
    • 개인의 의지뿐 아니라 피드백, 멘토, 팀 문화, 실패를 용인하는 환경이 있어야 그릿이 발휘된다. 

      개인 탓으로만 돌리는 관점은 위험하다.

  • 실행 설계(implementation matters)
    • 막연히 ‘열심히 하겠다’가 아니라, 

      구체적 시간표·난이도 단계·피드백 루프가 있어야 노력은 성장으로 바뀐다.

  • 그릿과 ‘언제 포기할지’ 사이의 균형
    • 그릿을 미덕이자 강박으로 착각하면 잘못된 길에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장기 목표의 정기적 재검토와 ‘건설적 포기’(pivot) 능력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자녀의 흥미(Interest) 발견 돕기

    진로 고민이 본격화되는 시기. 스스로 “내가 좋아하는 분야가 뭔지” 잘 모르고 방황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 대화를 통해 흥미 발견을 도와주기

2. 의도적 연습(Practice) 습관 만들기

     ‘완벽히 하라’가 아닌, 짧더라도 꾸준히 하는 루틴 형성

3. 목적(Purpose)과 연결해 주기

     대학/직업 선택의 현실적 그림 보여주기와 또래 관계 속에서 자기 능력이 돋보일 수 있는 경험 제안 하기

4. 희망(Hope)과 회복 탄력성

  •   “실패해도 괜찮다, 다시 해보면 된다”는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주는 것

       [실패 후 복구 루틴] 만들어주기

5. 무조건 칭찬만 하는 게 아니라,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전하면서도 노력 기준은 높게 제시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1    “성공을 결정짓는 건 재능보다 열정과 끈기이다.”
p. 21    “수학에 대한 소질이 있다고 해서 수학 수업에서 잘하는 것은 아니다.”
p. 30   (“성취는 재능이 아니라 습관화 된 꾸준한 연습에서 온다.”와 유사한 맥락)    
p. 88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사랑한다.” / “열정은 순간의 흥분이 아니라 일관된 헌신이다.” 
p. 107   “전문가는 반복 훈련 뒤에 나타난다.” / “더 나아지려는 끈질긴 욕구.”
p. 128   “내가 하는 일이 나 자신을 넘어 타인에게 의미가 된다면, 더 오래 지속할 힘이 생긴다.”
p. 149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나라.” / “내일을 더 낫게 만들어 보겠다.”  (회복 탄력성, 희망(hope)의 표현)
 

 

 

 

 

 

 

 

 

 

 


댓글


널시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