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가 자꾸 미뤄지고 있는 도수맘마입니다..

앞마당을 세 개는 만들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고민하던중

지투기를 신청하고 항상 좋은 목소리로 강의를 해 주시는 유디님의 1강을 

아주! 집중해서 듣고 왔습니다..ㅎㅎ

지금은 타 지역이지만 1강에서 말씀해주신 A지역이 제 고향입니다.

그래서 더 집중해서 듣게 되고 매번 내려갔던 고향이 이번 명절에는 다르게 보일것 같습니다(●'◡'●)

 

강의에서 배운 핵심 포인트

  1.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단지를 직접 찾는 방법
  2. 지방 투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투자 기준과 가치 판단 기준
  3. 실제 내 자금으로 적용 가능한 실전 투자 전략
  4. 지방 투자 마지노선을 명확히 설정하는 법

     

서울 vs 지방, 투자 관점의 차이

  • 서울·수도권은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음 → 다른 지역으로의 출퇴근 가능성이 크기 때문.
  • 지방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이 쉽지 않다.

그래서 지방에서는 학군이 곧 입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걸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왜 이 지역에 꼭 살아야 하는지”를 만드는 힘이 바로 학군과 생활환경, 아파트 연식에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투자 단지 선택 기준

  • 지방은 단순하다: 학군이 좋거나, 눈에 보이는 생활환경이 좋거나.
  • 단지별 선호도 파악이 중요하다 → 어떤 단지를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공감하고 알아야 함.
  • 중학교 학군 배정까지 따져봐야 하는 게 지방 투자에서 매우 현실적인 포인트.

 

지방 투자 시 꼭 고려할 점

  • 저평가만 보고 접근하지 말 것 → 공급 물량과 리스크 반드시 따져야 함.
  • 대기업 취업과 같은 지역 내 고용 안정은 아파트 수요로 이어지지만, 단순히 ‘직주근접’은 지방에서 그리 결정적인 요인이 아님. (A 지역같은 경우에도 도시 끝에 끝까지 자차로 40분이내)
  • 교통보다는 학군·생활환경·단지 규모·연식 등이 실질적으로 더 큰 변수.

     

나에게 적용해 볼점

  • 입지가 다소 부족해도 그 지역에서 인기 있는 아파트는 상승한다.
  • 낡지 않은 아파트가 모여 있는 모습 자체가 시장의 심리를 크게 자극한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 또  A지역을 공부해서 2년뒤 다른 지방도시의 모습을 그려보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댓글


도수맘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