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오르는 분위기에 휩쓸리면 내가 살 수 있는 아파트 중에 가장 가치 있는 아파트가 아닌데도 그냥 사게 되고
조급함으로 투자를 하면 가치를 모르기 때문에 보유를 못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한 사람으로서 서울은 이미 전고점을 돌파하는 곳들이 많아지고 집을 보지도 않고
사는 사람들도 있고 실거주자들은 대출 나오면 그냥 산다 이런 말을 들을수록 또다시 조급해지는 마음이 들지만
나는 아직 실력이 없으니 지금 내가 집중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는게 먼저라는 걸 잊지 말아야겠다.
26년 2월 전까지 수도권에 투자를 하기로 마음먹었으니 그전까지는 임장&임보에 집중하고
투자자의 관점을 장착하고 투자자 마인드를 셋팅 하는데 노력해야겠다.
(근데 자모님 강의를 들으면 수도권 투자보다 지방 투자가 나한테 더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직까지도 고민이 된다 ㅜㅜ실준 강의가 끝나기 전까지는 꼭 방향을 정하자 !)
* 23, 24년 절대적 저평가 시장이었다면 25년은 상대적 저평가시장이다
- 이미 올라있는 단지 안에서 가치가 있는 물건에 투자해야 한다
(절대적으로 싼 가격은 서울에 거의 없다는 말이 너무 슬펐다)
호재보다는 입지가 좋은 곳, 강남에 가까운 곳을 집중적으로 봐야겠다 ! 구축이더라도 괜찮다 !
* 교통
- 노선 임팩트 1호선 제일 떨어짐
- 좋은 노선 : 2,3,5,7,9호선, 신분당선, 6호선은 업무지구 x, 경춘선, 경의중앙선은 한적..
강남접근성이 떨어지는 노선일 경우 역세권이라고 무조건 좋은게 아니다.
이 경우 평지인지 상권이 있는지 등 환경을 더 중요하게 봐라
역이 없는 수도권은 단지 앞에 강남 버스 한번에 들어가는 버스 있는지 노선을 꼭 확인해라
* 직장
1) 직장이 없을 경우 : 교통과 환경을 우선으로 보기 ex) 동작구 사당동, 흑석동
2) 직장이 있을 경우 : 양과 질을 봐야 한다 ex) 영등포구 여의도
+ 과천에 직장이 들어오면 과천이 좋아지는게 아니라 안양이나 인덕원을 유심히 봐야한다
1) 같은 투자금이면 어느 지역, 어느 단지를 투자하는게 좋을지 보고서 마지막에 꼭 쓰기
2) 임장루트 짤 때 상권이나 학교 사이인지 카카오나 네이버 로드맵으로 미리 확인하고 루트 짜기
3) 가치에 대해 모르는데 조급한 마음 때문에 섣불리 투자하지 않기
4) 임장지에서 강남까지 대중교통으로 이동해보기
5) 포기하지 않기 !! 최소 60일 동안만이라도 이탈하지 않고 투자자 습관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