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돈독모] 돈의 얼굴 + 독서 후기 [화채]

25.10.07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미치도록 보고 싶었던 돈의 얼굴

2. 저자 및 출판사:㈜영진닷컴

3. 읽은 날짜:  2025. 10. 1 ~ 2025. 10. 7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1부 / 돈의 탄생, 그리고 흐름]

#유동성   #신뢰   #금

초기 형태의 돈은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그 어떤 것이 었다. 책에는 중국의 전차 이야기가 나온다. 전차는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 물건이자 가볍고 보관만 잘 하면 그 가치가 오래가 다른 물건으로 교환할때도 쓰였다.

이런 물물교환의 형태에서 점차 진화하여 지금의 종이돈이 생겼다.

종이돈은 중국 원나라 징기스칸이 발매했으며 황제가 내린 종이 이므로 그 내용을 믿고 통용되었다.

송나라에도 교자라는 종이 돈이 있었고 2년마다 통화량을 관리했다.

이 돈은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가 이루어 졌고, 그 신뢰를 바탕으로 지금의 명목화폐로 자리 잡았다.

명목화폐의 기능을 하는 종이 돈은 각국의 사정에 따라 더 많이 찍어내기도 하는데 이렇게 늘어난 통화량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

 

[2부 / 이자 굴려 드립니다]

#금리   #한계

이자란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말한다.
이자느 고대 문명에서부터 있었고,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과 그리스 에서도 이자를 받은 기록이 있다.
오래된 역사에도 불구하고 고리대금업의 이미지는 좋지 않다.
이슬람 문화에서의 이자는 노동의 대가 없이 받는 돈이라는 폄하된 이미지가 있고, 중세 가톨릭 시대에는 이자를 죄악시해 고리대금업을 금지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도 이자는 환영받지 못했으며, 플라톤은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것을 단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돈을 빌려왔고, 도덕적 찬반은 존재했으나 이자는 존재했다.
그렇다면 얼마나 지불해야 공정할까? 이러한 기준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금리이다.
금리는 시간의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현재의 소비를 미루고 기다릴수록 미래에 더 큰 가치를 얻을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런 시간의 가치를 이해한 사람들이 금이 돈이던 시절의 금 세공업자들이다.
그들은 금을 맡아주고 맡아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고 금을 빌려주는 대가로 다시 수수료를 받았다.
이것이 현대적 은행의 시작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 빨리 깨달은 자는 돈을 벌었다.
2. 우리 돈을 맡기면서 이자를 내야하는 마이너스금리 시대가 올까?
3. 오랫동안 마이너스 금리가 유지된다면 국내 자금이 외국으로 빠져나가고 자국 화폐의 가치는 더욱 하락할 것이다.

 


댓글


화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