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과제를 해 본적이 거의 없는데, 앞으로는 꼭 써보려고 한다. (짧게라도..!!)

목실감도 10월들어서 처음으로 하루도 빠짐없이 작성하고 있는데, 수강후기도 완수해보자!

 

⭐ 지워야 할 MIND ⭐

할 수 있을까?  = 안 하겠다

될까? = 안 된다.

 

 

강의들으면서 교안에 [★] 표시나, [BM]할 점 들을 표기해 놓는 것 위주로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지금은 상대적 저평가를 잘 골라 내야되는 시장. 가치를 더 잘 볼 수 있는 사람이 이기는 시장이다.

    내가 후보로 눈여겨 보던단지더라도, 실거주자들의 계약에 마음 흔들리지 말 것!

  2. 내가 투자하는 아파트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야 “보유”할 수 있다.

    내가 뒤쳐지고 있다고 조급해서, 급하게 투자하면 ‘보유’하지 못한다.

  3. 실준반에서 딱 3번 한 가지라도 배워가면 성공!!!

      같은 가격이면 어느 지역, 어느 단지를 투자하는게 좋을지 배워간다.

      같은 투자금이면 어느 지역, 어느 단지를 투자하는게 좋을지 배워간다.

 4. 앞마당을 최소 3개 이상 늘리고 투자해야 되는 이유!!?

      위/중간/아래 다 가봐야 비교평가가 제대로 된다!

       ※ 내가 이걸 하는 것에 대한 의미가 있어야 한다. 

          인간은 의미를 잃을 때, 동기부여가 떨어진다. 앞마당을 늘려나가는 본질적인 이유! 비교평가! 잊지말자!

5. [BM] 분임 시, 지적편집도의 파랑/핑크색 영역을 반드시 밟고 와야 한다!

     분임할 때 중요한 것은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를 확인하며 걷는 것이지, 가격이 아니다.

     지도와 루트,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보자. 

6. 지방이여서 지하철역이 안지나가는 동네라면?? 분임스타트는 어디서~!?

    랜드마크 아파트가 있는 동네부터 시작해라! 

7. 서울/수도권에서, '무조건 역세권이 좋겠지'!'가 아닌 이유

    6호선 같이 업무지구로 관통하는 major노선이 아닌 경우는, 무조건 역세권이라고 해서 좋은 단지가 아니다.

    어짜피 주요 업무지구로 가는 수요가 적기 때문에.

    투자자의 시선으로 → 좀 더 평지이거나, 좀 더 연식이 좋은 단지들이라면 투자범위에 넣어도 좋다!

     cf) 역이랑 가까운 곳이 선호되는 것은 맞지만, 버스도 무시 못한다. (버스로 강남에 한 번에 갈 수 있다면!)

8. [BM] 투자자로서의 삶 루틴 만들기 

    1) 퇴근길 - 시세 확인하기

    2) 저녁 루틴 만들기 → 목실감만 쓰고 있었는데, 시금부도 작성해보면 좋을 것 같다.

 

자모님 교안 중에 “투자판에서 결과를 만들어 내는 사람은 똑똑한 사람도, 재능이 있는 사람도 아닌 될 때 까지 하는 사람입니다.” 라는 문장이 있었는데, 

내가 살아오면서 주변 지인들이 ‘너 진짜 독하다, 어떻게 포기를 안했어?’라고 할 때 마다

종종 내 입으로도 몇 번 얘기한 적이 있는 말이라서('나는 될 때 까지 해') 내가 나를 믿는다면 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자신감이 살포시 생겼다. 

적지 않은 돈을 나 혼자서 판단하고 투자를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고 무섭고 두렵지만, 11월엔 꼭 투자코칭도 성공해서 투자자로서 한 걸음씩 더 나아가고자 한다. 

 

 


댓글


이루리다옴
25. 10. 08. 19:37

Suya님 정리 잘 하셨네요:) 그리고 목실감 정말 안되서 저는 손도 안대고 있는데 목실감 꾸준히 하시는거 정말 대단하신거 같애요:) 글 읽다가 두렵긴한데 내가 나를 믿는다면 해낼수 있지 않을까하는 자신감글에서 저도 자신감 가져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