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안녕하세요,
매 순간 JUST DO IT 하고 싶은
저스뚜잇입니다.
2주차 강의는 감사하게도
오프 강의 기회를 주셔서
참석하게 되었는데요.
평일이었다면 업무로 어려웠겠지만
연휴라 가능했던 기쁜 마음과 설레임을 안고
강의장으로 향하였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임장과 임보 작성에 대한
순서와 각 파트에서 왜 하는 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알려주셨습니다.
그 동안 알고 행동 했다고 하지만
제대로 알고 행동한 것이 맞는지
강의 내용을 복기하며
느낀 점과 적용할 점을
중심으로 후기를 남겨 보겠습니다.
임장보고서 체계
관통하는 한 가지 KEYWORD
‘우선순위’
분임→단임→매임
투자 대상을 좁혀 나가는
하나의 과정입니다.
임장 보고서도 마찬가지고요.
그 과정에서 계속 우선순위라는
단어와 마주하게 되는데요.
같은 가격과 투자금이면
어디가 더 좋을까?
저희가 임장하고 임보하고
땅의 가치와 단지의 가치를
판단하려 애쓰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순서에 맞게
임장과 임보를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경기도 ㅇㅇ구의 대단지 신축 ㅇㅇ단지와
서울 ㅇㅇ구의 구축 ㅇㅇ단지, 어떤 선택을 하고 싶으세요?'
'만약 제대로 대답을 못한다면
아직 잘 모르시는 겁니다.'
지역과 단지에 대한 가치 판단이
잘돼 있다면 투자는
쉬울 수 밖에 없는 게임인데요.
이전 앞마당들과 비교 평가를 할 때 마다
매번 느끼는 어려움은
가치를 조금 더 제대로 알고 싶다입니다.
현재 임장지에 대한 핵심 가치를
제대로 알고 넘어가자.
내가 밟고 있는 땅의 우선순위
보고 있는 단지의 우선순위
그리고 강의에서 말씀 주신 대로
입지 가치의 기준이 아닌
소음에 흔들리지 않기
하나 하나 빌드업 하는 방식으로
각 순서에서 챙겨야 할 기본과 본질을
제대로 쌓아 올려나가 결론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잘 챙겨 보겠습니다.
시세는 한 땀 한 땀
시세를 직접 수기로 작성하다 보면
점점 영혼 없어지는 눈으로
시세를 따고 있는 절 발견하게 되는데요.
왜 한 땀 한 땀 손으로 직접 따야 하는지
기록하며 어떤 생각을 해야 하는지
튜터님께서 실제 하는 방식으로 손수 보여주셨습니다.
단지가 많은 지역은 시세 따는
것만으로도 지칠 때가 많고
시세 지도를 그릴 때도 마찬가지
마치 그림을 그리듯 지도를
그리고 있을 때가 있습니다.
꼭 저평가 여부와 가격 형성 특징에
대한 생각을 놓치지 않으며
장표에 정리하여 남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곧 돌아오는 2주 차가
시세 파트인 만큼 미리 강의로
들을 수 있어 넘 유용했습니다.
강의가 끝나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튜터님께서는
저희들의 고민을 듣고 답변해 주시는
감사한 시간을 가졌는데요.
많은 질문 중에서 전 3년 차 투자자인
동료 분의 고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3년차 투자자인데 그냥 하는 것만 하고 있어요.
성장하려 애쓰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시작하고,하고,반복하고,익숙해지면
잘한다로 넘어 가기 전에
버티는 시기가 무조건 옵니다.
이 시기에 하는 걸 계속
꾸준히 해낸다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잘하고 있으신 겁니다.
그러다 잘 하는 시기가 온다면
목표를 이루는 성공하는 시기도 오는 겁니다.
버티는 구간
저도 요즘 느끼는 어려움입니다.
튜터님께서 월학 제자들에게는
120% 정도의 상향 목표를 정하고
복기하며 보완해 나가는
성장 계획서를 작성 시킨다고 하셨는데요.
더 높은 수준의 목표가
명확하지 않았던 것도
슬럼프의 한 이유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이 또한 성장하는 동료들과 함께 한다는
환경의 중요성이기도 합니다.
투자 방법에 대한 가르침 뿐만 아니라
투자자로써 가지고 가야 할 태도까지
배울 수 있는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오랜 시간 강의로도 힘드셨을텐데
질의 응답 시간까지..
미소 잃지 않고 따듯하게 응원주신 권유디 튜터님
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