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8기 5늘도 임장근6 만들조 손지니] 2주차 강의후기

  • 23.12.23





안녕하세요 손지니입니다.

2주차는 파링님께서 동북권에 대해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동북권 지역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서울 단지비교는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힌트를 얻을 수 있던 강의였습니다.



동북 너 이런애였구나?

2n년간 서울을 거주하면서 방방곡곡 다녀봤기에 나름 지역을 다 안다고 자부했습니다. ( 이 생각은 1주차 자모님 강의를 들으면서 반성해쬬)


하지만 낯선동네들이 나올때마다 지도를 뒤적거리고있는 저를 발견하죠..

대략적인 구의 위치는 알고 들어보긴 했으나 동네별로 어떤 특징을, 위치인지 또 주변 인접한 동네가 어디인지 등 이런 기본정보가 다 아는거 같아도 지도를 보지않고도 익숙해 하면서 서울을 바라볼때 투자자의 안경을 끼워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동북권은 정말 별다를게 없어서 자주 놀러가지않은 지역 중 하나입니다. 근데 그런 요소를 상쇄하는 일자리접근성과 환경개선으로 주목해야 하는 지역임을 알고 현재 서울의 가격수준도 같이 체감했던 순간이였습니다.


이런 시장에서 안좋은 급지일수록 가격은 섞여있었고 그러기에 더더욱 스스로 한계를 짓기보단 넓게 보는게 무엇보다 중요함을 깨닫습니다. 저희는 같은돈으로 좋은걸 사야하는 투자자이니깐요!




서울아파트 급지는 그냥 꼬리표 입니다.

아마 저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투자의 정답을 원합니다. 그래서 1급지는 최종목표라 생각하고 급지별로 차근차근 접근하면 된다고 생각하실겁니다.

근데 이번 파링님 강의중 예제로 든 사례 중 5급지 신축 vs 4급지 구축이 있었는데 처음단지두개는 4급지가 이겼지만 다음 예시 단지들은 5급지가 더 높은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제 생각이 깨진 결과였죠.


여기서 핵심은, 급지가 형성된 이유를 알아야 된다입니다. 왜 이 동네가 2급지인지, 4급지인지. 어떤 요소들로 선호되는지에 대해 핵심요인을 생각하면서 그 동네 안의 단지들도 급지를 형성한 이유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 됐던것입니다.


그 밖에도 투자사례를 말씀주시면서 느낀건 급지보단 단지의 특징, 나의 투자상황이 결정적 요인이 됐습니다.

비슷한 투자금일때 큰 덩어리인 동네의 급지만 보고 선택하는게 아닌, 이 동네속 단지가 정말 그만한 선호도를 갖는지 추가적으로 조정이 가능한지 등 투자때 고려했던 사항들을 보며


역시 투자의 정답은 없다


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단순히 급지는 서울을 넓게 판단하기위한 하나의 꼬리표일뿐, 저희는 아파트별로 투자하는 사람이기에 개별 요소들을 명확히 파악해야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BM

-서울 생활권 등급매길때 가격을 형성하는 선호요소도 적어본다. : 이 구의 선호요소를 생활권이 반영되어있는가에 대해 고민

-매달 서울구별 시세 정리 :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전세가율을 노려본다.


댓글


손지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