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집마련에 대한 기준, 원칙을 배울 수 있었던 값진 첫주차 강의 후기

25.10.11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추석 연휴를 보내면서, 생각보다 과제 제출이 늦어지게 되었습니다. 너나위님이 짜주신 한달 캘린더보다 일정이 늦어졌지만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따라가보겠습니다. 

내용이 잘 생각나지 않아 재생률 200%를 다 채우면서 복습을 열심히 했지만 제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사실 조금 불안하네요. 그래도 강의를 듣기 전의 저와 강의를 듣고 난 후의 저는 달라진 것이 느껴집니다. 

 

가장 먼저, 

 

강의를 듣기 전에는 지금 뉴스에서 나오는 6.27, 9.7 규제에 대해서 막연히 ‘아, 정부가 집을 사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구나, 집값을 떨어뜨리려고 하는 거 같은데 집을 사기 어렵게만 하고 집값은 여전히 상승세인데 나같은 사람은 집을 사기 어렵겠다.. ’ 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강의를 듣고 난 후에는, ‘아, 지금은 상승장이니까 정부가 규제를 하는 거구나, 상승장에서의 기회는 정부의 규제로부터 오는 것이구나, 혹시 이때 집을 사지 못하더라도 기회는 규제로부터 생긴다는 것을 알고 예전 가격 생각하지 말고 규제로 인해 이전보다 가격이 싸질 경우 내 집마련을 하는 것이 좋겠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복습하면서 아래와 같은 개념들이 제 머리속에 남았습니다. 

 

전세가율, PIR의 개념을 배우고 전세가율과 PIR로 집 구매의 기준을 세울 수 있다는 점, PIR이 평균보다 낮으면서 전세가율이 평균보다 높을때가 베스트 라는 것이 원칙이라는 점.

 

전고점을 돌파한 집을 상승장에서의 규제로 인한 기회로 비싸지 않게 사는 것.

전고점을 돌파하지 않은 비싸지 않은 집을 최대한 싸게 사는 것.

 

금리(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을때가 있지만 집값과 금리의 반비례 관계), 공급(신축공급이 전세가에 영향을 주고, 전세가는 매매가에 영향을 줌), 정부 정책(침체기에 부양,완화, 상승기에 규제)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현재 물가상승률이 안정되고 경제 성장이 적어진 현재 금리는 인하할 수 밖에 없고 최소 집값 상승을 우려하여 동결이 되었을 뿐 금리 인상은 하기 어렵다는 것.

 

현재 공급이 적어 전세가가 올라 전세로 사는게 불리해지기 시작했고, 전국 기준 이전보다 대다수 아파트 가격이 전고점을 돌파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니 길게 보고 아파트를 사는게 맞다는 판단.

 

구체적인 징검다리 사례 등 .. 많은 개념을 배울 수 있었네요. 덕분에 부동산 까막눈에서 조금은 달라진 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첫번째 과제인 제 후기를 마치고, 다음 과제는 본격적으로 두번째 과제인 내집마련보고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똑똑파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