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강의 후기 [제목]은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으로 표현해보세요!
솔직히 1강의 듣고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1강 강의에서는 언급되지 않는 내용들이 임장보고서에는 막 튀어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가이드가 있었지만 처음하는 나에게는 쉽지 않았으나 완료주의를 위해 완성을 시켜서 과제 제출은 했다.
미리 임장보고서를 작성해 본 덕분인지 예습하고 강의 듣는 느낌으로 2강에서 권유디님의 디테일 한 설명이 너무도 귀에 쏙쏙 들어왔고 이해가 쉬웠다.
인구, 직장, 교통, 환경, 학군, 환경, 공급, 호재 등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이 있는데 왜 이런 걸 고려해야 하는지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었던 시간인 거 같다.
특히나 어떻게 고려 사항들을 확인 할 수 있는지 디테일한 방법을 알려 줘서 너무 감사한 시간이었다.
익숙한 사이트도 있고 처음 알게된 사이트도 있고 처음 알게 된 사이트에서 이런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신세계를 맛본 시간이었다.
여러 고려 사항들을 통해서 결론이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라는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 것 같다.
시세분석의 경우는 정말로 이렇게 많은 단지의 매물들의 시세를 조사해야하는 걸까?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거 같은데 뭔가 프로그램적으로 편하게 만들어지는 시세조사표는 없을까? 이런 저런 꼼수를 생각해 보았지만...
결국은 익숙하지 않아서 많은 시간들이 소요되는 것이고 내가 직접 시세를 조사해 보아야 기억에 남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라는 것에 공감을 했다.
어떻게 시세를 따는지 차근 차근 알려줘서 따라만 하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 많은 매물을 조사하는 것은 아직도 사실 겁이 나고 두렵다.
특히 FAQ를 통해서 궁금한 부분들을 미리 알려줘서 좋았던 거 같다.
이런 많은 노력들이 모여서 나에게 좋은 투자의 밑거름이 될 거라는 기대는 확실해 졌다.
단지의 시세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면 반드시 투자 타이밍이 눈에 들어온다는 말이 많은 용기를 주는 말씀이었다.
마지막으로 당장 이번 주말에 단지 임장을 가야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한 상황에서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 길잡이를 찾은 거 같다.
단지 외부에서는 유해시설이나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에서 단지까지 걸어오는 과정의 스트레스, 안정성, 쾌적함 이런 것을 고려해야 한다.
단지 내부는 동간거리, 관리상태(쾌적함), 조경, 단지 자재, 지하주차장을 고려해야 한다.
각 단지당 10~15분정도 시간으로 위의 내용들을 다 파악할 수 있을까? 임장해야할 단지가 굉장히 많은데 다 기억할 수 있을까?
막연한 두려움 보다는 일단 시작한다가 중요하다는 말씀을 기억하고 단지 임장을 해야 할 것 같다.
이미 많은 과정과 시간을 투자해서 많은 자료를 만든 선배님들이 존경스러워 지는 순간이다.
결론적으로 분위기 임장으로 동별 순위를 정하고 단지 임장으로 동 내에서 단지 순위를 정하고 이를 통해서 투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 같다.
여기에 시세 조사를 통해서 보다 디테일한 정보를 추가하여 같은 돈으로 더 좋은 것을 살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 같다.
"투자는 디테일에서 정해진다" 이번 강의의 핵심인 거 같다.
시작 -> 한다 -> 익숙해진다 -> 버틴다 -> 잘 해진다 -> 성공한다.
앞으로 내가 투자자로 거듭나기 위해 기억해야 할 한마디 "버틴다"
버티고 또 버티면 언제가 성공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노력해야겠다.
댓글
BABA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