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투26기 2잇나ㄹ6 10월을 빛낼 10명의 10조들 무한한상상] 선배님들이 갔던 길. (프메퍼 튜터님의 지투2강 후기)

25.10.15

안녕하세요 !

무한히 상상하는 무한한상상 입니다 !

 

프메퍼 튜터님의 2강으

비교평가의 기준을 “정석으로 제대로 배우는 시간” 을 가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지방기초반이 거의 기억이 나지 않은 상태로

지투실전반을 수강하게 되어서 많이 걱정했었는데, 1강에 이어서 2강에서도

기본 개념과 기본 원칙을 단계별로 잘 설명해주셔서 탄탄하게 기초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물론 지방이라고 완전히 새로운 프로세스로 비교평가를 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수도권과는 사뭇 다른 입지 평가 요소로 인해 처음에는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본 강의에서 단계적인 프로세스를 익히고

제가 임장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최대한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 비교평가를 잘하는 법

 

비교평가란 본디 “수요와 우선순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좋은 물건을 가려내는 행위” 입니다.

저는 아마 지금까지 수요와 우선순위를 비교하는게 아니라

그래서 A를 사야하나? B를 사야하나? 라는 결과에만 집중했던 것이 아니었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비교평가는 

가치대비 가격이 더 싼 것을 찾는 과정입니다.

 

가격이 같다면 더 가치가 있는 것

가치가 같다면 더 가격이 싼 것

기본 전제는 수도권과 동일합니다 !

 

 

기억할점!

  • 지방은 입지보다 상품성이 중요하다. (그렇다고 입지가 전혀 상관없다는 건 아님)
  • 학군, 환경, 커뮤니티 의 선호요소를 잘 따져보자 (희소한 선호도 찾기)
  • 지방투자의 3요소 : 지역선호도, 신축, 환경
  • 광역시의 크기가 클 수록 땅의가치 > 연식
  • 중소도시는 연식 > 땅의 가치

 

 

| 지역내 비교평가, 지역간 비교평가

 

수도권에서 비교평가하는것은

“주요 업무지구와의 접근성” 으로 대부분 해결이 가능했습니다.

특히 강남 접근성은 치트키였죠.

 

 

하지만 지방은 조금 달랐습니다.

개별성이 강하기 때문에 규모에 따라, 선호요소에 따라 다르죠.

그래서 다음 순서로 비교평가를 진행해야 합니다

 

지역내

1. 지역별 특징 확인

2. 가치와 가격 비교평가

3. 비교평가 검증 

 

지역간

1. 지역별 규모 확인

2. 단지 선호도 비교평가

3. 비교평가 검증 

 

 

기억할점!

  • 인구수가 많아서 큰 지역일수록 땅의 가치가 크다.
  • 땅의 가치가 떨어지더라도 생활권 순위가 높으면 가치가 더 높다
  • 그래프와 가치 가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 실전 투자!

 

투자를 당장 못하더라도

매임의 결과를 남겨서 “살아있었던” 매물의 정보를 꼭 남겨두라고 하셨습니다.

 

지난 1호기를 하면서 기록을 남기지도 않고 마구잡이로 했던 점을

한 번 더 반성하였습니다 ㅠㅠ..

 

이제와서 다시 보려고 하면,

그 당시 검토했던 매물의 정보가 남아있지 않아 복기가 안 되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가설검증의 4단계 입니다.

 

꼭 이번 임보에 이 부분을 적용해보고자 다짐했습니다.

"주장, 근거, 결론, 적용" 4단계를 통해서

해당 지역에서 의문이 드는 부분들을 정리하고 넘어가자!

 

 

이번 임장지가 제 첫 앞마당인 만큼

제대로 잘 틀을 만드는데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틀을 갖추기 위해 프메퍼 튜터님의 강의는 정말 알찼습니다.

 

다시 한 번 좋은 내용 전달해주신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프메퍼creator badge
25.10.20 12:07

무한한상상님 후기 쓰느라 고생하셨어요 :) BM포인트 잘 정리해보시면서, 성장해나가시길 응원드릴게요!! 화이팅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