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느낀점

실준반을 올해 4월에 수강했을때만해도 지방투자는 생각도 없었어서,, 강의에서 지방얘기를 해주실 때 마다 ‘내 얘기 아니니까’ 흘려들었었는데, 이번에 수강할 땐 서울/수도권 말고도 지방은 이렇게하세요~ 하고 가이드를 따로 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무엇보다 입지분석파트 하나하나 직장/교통/학군/환경/공급/호재 모두 왜 조사해야하는지 “목적”을 알려주셔서, 투자에 있어서 목적성을 알려주셔서 너무 도움이 많이 됐다. 

유디님께서도 이번 강의를 듣고 당장 1주차 과제부터 뜯어고치고 싶은 마음이 들겠지만, 그대로 두고 다음달에 적용하라고 하셨는데, 진짜 한 주 한주 강의듣고 과제하기가 너무 빠듯한 것 같다 ㅠㅡㅠ.. 흑흑

 

슬럼프가 온다는 것은 내가 나아지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 아무 노력도 하지않으면 슬럼프도 번아웃도 오지 않는다. 

 

BM

  1. 지방에서 직장과의 거리를 따질 땐, 해당 구 에서 랜드마크단지가 가장가까운 주요업무지구까지의 거리가 얼만지를 따져보면 된다.
  2. (서울/수도권) 목동같은 경우 학군때문에 수요를 끌어들이는 구 인데, 역세권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면 가치 판단이 어려워진다.
  3. (서울/수도권)은 인구수 안중요. 반면, 지방에서 인구수는 너무너무 중요하고 제일 중요
  4. 다음달 임보에, 생활권별 “연령별 인구” 장표 추가해보자.
  5. 학업성취도율이 높다고해서 학군지라고 할 수 X.  왜? 학원가가 없을 수 있으니까.
  6. 내가 보는 앞마당이 “학군지”로서 입지가치를 갖는 곳이라면, 단지별로 어느 중학교로 배정되는지가 매우 중요함
  7. 지방은 직주근접 <<<<<<< 학군
  8. 좋다/나쁘다로 판단하지 않는다. 좋다/나쁘다 frame으로 지역과 단지를 판단하지 말 것!!!

    우선순위만 판단한다!!!

    애매한데? 나쁜데? 라고 판단된 단지들에서 투자 기회가 나오기 마련임.

    ‘우선순위 상에서는 밀리더라도, 내가 할 수 있는 단지들 중에서는 가장 좋은거니까’ 로 판단이 된다.

  9. 현재 시장에서 가격이 붙어있는 곳들에서 주의해야 할 점

    가격과 가치의 왜곡 조심!!

  10. 호재) 착공여부보다, 그 당시의 시장이 상승장인지/하락장인지가 가격변동에 영향을 주는 것
  11. 시세트래킹 단지들을 뽑을 때, 랜드마크 단지들은 시장반응 signal로서 매우 중요함

     


댓글


suya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