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너나위, 용용맘맘맘, 코크드림

→현재기준, 절대적인 소득 대비 가격(=PIR)자체는 많이 내려온 상태이나
전세가율을 봐선 확신 X
- 수도권: 인구 ↑ / 가구 ↓
- 광역시: 인구 ↓ / 가구 ↑
- 지방중소도시: 인구 ↓ / 가구 ↓
→ 인구가 늘어나는 수도권, 광역시는 내집마련 필요
*인구가 줄어드는 주택시장에선
수도권 :위치 좋은(연식은 상관 없음) & 광역시: 신축 아파트를 기억하기
금리: 인하기에 아파트가 풀린 돈을 빨아들임 *대한민국 금리 인하기 돌입 (24.10 시작 3.5% → 2.5%)
- 00년대 중반~10년대 초반: 금리- 집값 반비례 성립안함
- 10년대 중반~현재(최근 10년): 금리 - 집값 반비례성립
→- 금리가 높아지면 매매가 하락/ 금리가 낮아지면 매매가 상승
공급: 신축아파트 공급→전세가→매매가 영향
* 주변 신축아파트 공급이 없으면 전세가는 올라가고 매매가 하락은 방어된다.
* 주변 신축아파트 공급이 많으면 전세가는 내려가고 매매가도 하락된다.
기타환경: 침체기- 완화정책 vs폭등기- 규제정책
*23년 초: 특례대출정책(돈을 더빌려줌) → 완화정책 →침체기
*24년 초: 신생아대출정책(돈을 더빌려줌) → 완화정책 →침체기
*25년 초: 토허제 원복(못사게 묶어둠) → 규제정책 →폭등기
*25년 6월: 6.27정책(대출중심억제) → 규제정책 →폭등기
9월: 9.7대책(공급, 추가수요)
→ 금리/공급은 꽤 긴 기간 하락침체기에 영향을 주지만
기타환경(정책)은 일시적으로 상승호황기에 규제를 통해 기회를 준다.
가격: 비싼 아파트 값 vs 싼 아파트 값
* 서울 하락, 반등 반복(시장흐름:금리,공급) → 현재 상승진입 (초여름, 싸지도 않고 비싸지도 않음)
* 지방 전세 하락 종료 → 하락마무리 (늦겨울, 대부분쌈)
서울/경기
- 최상급지, 최선호단지: 싸지 않다 →다른 물건, 다른시기
- 나머지: 비싸지 않다 → (장기보유 or 환승고려) 매수시기
지방
- 최상급지, 최선호단지: 비싸지 않다 → (장기보유) 매수시기
- 나머지: 싸다 →(환승고려) 매수시기
<우리가 따라해야할 D의 전략>
적극적으로 갈아탐(최종 목표에 도달)
→ 10년만에 순자산 10배
<수도권 아파트 상승률>
→ 대략 연평균 6%를 기준으로 징검다리 전략의 실행 계획을 수립
현재 → 징검다리 ‘내 상황에 맞는 집을 골라 산다.’
- 내집마련의 개념을 뜯어고친다. → “내 돈으로 살 수 있는 최선은?” 이라는 개념 갖기.
- 접근 방식을 뜯어 고친다. → “O억으로 살 수 있는 집들은?” 이라는 접근 방식 갖기.
- 결정 방식을 뜯어 고친다. → “이 집들의 가치 우열은 어떤가?”로 결정 방식 갖기.
징검다리 → 최종 목표 ‘저축+관심+공부 → N번 갈아타기’
- 내집마련은 투자임을 인식한다. → <내집마련=평생활동>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다음 투자처를 찾아보자.”
- 저축과 관심은 기본이다. → “꾸준한 저축, 공부로 4,5년마다 이사”를 가능하게 한다.
- 과감하게 실행한다. → “가능하면 가급적 넘어간다.”로 실행속도와 강도를 높인다.
→ 이것들을 실행에 옮기면 1. 원하는 곳에서 거주 (거주가치)
2. 순자산 최소 3배 이상 증가 (자산가치)
댓글
건강쿼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