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를 통해 ‘나에게 맞는 투자 지역’을 찾기 위해서는 단순히 현장을 보는 것을 넘어, 지역의 가격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습니다. 실제로 각 지역을 전수조사하며 매매가와 전세가의 변동을 시세 트래킹으로 꾸준히 관찰해야 시장의 방향성과 공급·수요에 따른 가격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또한 각 지역의 1등 생활권을 중심으로 단지를 상·중·하로 구분해 시세를 비교하고, 전세 흐름을 통해 전세 수요가 높은 단지와 저평가된 단지를 구별하는 방법도 인상 깊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실거래가나 인기순위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 본질에 기반한 단지 선별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강의에서 강조된 캘린더 관리의 필요성도 기억에 남습니다. 전세 만기일을 달력에 기록해 역전세에 대비하고, 다음 투자 시기를 조율함으로써 자금 유동성과 리스크를 함께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또한 “흔들리지 않는 투자 체크리스트”를 통해, 보유한 물건의 수익률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감정보다 기준으로 판단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되새겼습니다. 시장 상황이나 주변 분위기에 흔들리지 않고 나만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결국 장기적인 수익으로 이어진다는 메시지가 인상 깊었습니다.
끝으로, “지금 힘든 순간이 있더라도 혼자가 아니다. 기준을 지키면 반드시 성장한다”는 말이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앞으로 3-3-3 트래킹법을 실천하며, 원페이지 정리를 통해 투자 우선순위와 다음 임장지를 명확히 선정하고, 후보 지역 3곳을 전수조사해 실제 투자 물건을 찾아 나갈 계획입니다.
재이리 튜터님께서 본인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해주셔서 현장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해볼 계획입니다. 특히 등기사항증명서를 통해 표제부, 갑구, 을구를 꼼꼼히 확인하여 소유자의 상황과 주택의 리스크를 파악하는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매수 결정 전에는 아랫집과 관리사무소를 방문해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육안으로 세심하게 점검해야 한다는 점도 인상 깊었습니다. 또한 네이버 호가만을 보고 판단하기보다 KB시세 등 객관적인 자료를 함께 참고해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계약금은 송금 시 법적 효력이 발생하므로 입금 전 반드시 신중히 확인해야 한다는 원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