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주차 강의는 윤이나 튜터님과 재이리 튜터님이 진행하는 과정으로
앞마당의 투자 가능 지역을 선별하고, 투자할 단지를 찾고, 앞마당을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방법과
매수 계약 과정과 이 이후의 전세 계약 과정을 바탕으로,
완성도 있는 투자를 계획하고 실행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시세 트래킹에 대해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긴 했지만,
제대로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사실 실행을 해본바 없어
이번 강의를 통해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
TO DO
#1 시세트래킹의 기본을 잡기 위해 3-3-3 매일 루틴을 만들기!
: 앞마당 내의 전세가 변화와, 다른 앞마당과의 저평가 판단을 위해 시세 트래킹 해 볼것.
무엇보다 시세 트래킹은 투자의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습관화” 해야 하겠습니다.
TO DO
#2 앞마당 원페이지 정리
: 내 앞마당의 공급 상황과 시장 분위기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투자 상황을 판단 해 볼 수 있는 계기판 역할이 되는
앞마당 원페이지 정리를 통해
투자 우선 지역과 다음 임장지역을 선정할 수 있도록 잘 활용해 봐야 하겠습니다.
이제 이 두가지를 통해 선정된 투자 후보지역 3곳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며 투자 대상을 찾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강의를 통해 배운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가계약 직전에 활용하며 의사 결정 과정과 리스크를 확실하게 점검하고
투자를 안전하게 실행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어지는 윤이나 튜터님의 강의를 통해서
투자 대상을 찾은 이후의 실제 투자가 진행되는 과정인
계약 프로세스에 대해 디테일하게 배워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매수, 전세, 보유와 매도 과정 모두 “계약서”라는 서류를 통해 진행되는 부분입니다.
강의를 통해서 가계약, 본계약, 전세계약시의 특약과 주의 사항
그리고 보유 과정에서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알고
적용해 볼 수 있는 유용한 기준을 마련하게 된 것 같습니다.
1호기 계약시에는 이번에 배운 강의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꼭 작성해보며
"특약 초안"을 점검하고,
가계약과 본계약의 특약사항을 꼼꼼히 잘 챙겨서 계약을 진행해야 하겠습니다.
이번에 이사하면서도 새로 이사할 집 월세 계약서를 작성하며
부동산에 일임하고 잘 챙기지 못하다보니
계약서에 오타도 많았고 주소도 잘못 기입되어 있는 부분을 나중에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계약서와 특약은 “안전벨트” 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꼭 잘 체크해 보며 앞으로 과정을 진행해야 하겠습니다.
시장 상황에 따른 매도 전략 부분도 매우 유용했습니다.
매도 시에 최저가부터 시작해 네고를 추가로 해 주는 시나리오를 예상해 매도가를 산정해야 한다는 점,
또한 하락장에서 매도를 하기 위해서 중요한 부분에 대해 “바꿀 수 있는 것”에 집중해 보는점이 좋았습니다.
“언제든” 체크리스트와 특약 사항을 꺼내 쓸 수 있도록 방법까지 안내해 주신 세심함에 감동하며
특약 사례 모음집까지 너무 꼼꼼히 챙겨주신 튜터님께 감사 드립니다.
이번 달도 벌써 마지막이 코 앞에 와 있습니다.
어렵고 익숙하지 않지만, 동료들과 함께 하는 환경 안에서 보고 배우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수강을 통해 성장하는 한 달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앞으로 나아가는 시간
투자자로 성공할 수 있도록
오늘도 감사하며 하루를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