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선착순] 12월 돈버는 독서모임 - 인간관계론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인상깊은 페이지
p.43 마인드풀니스의 정의는 '평가나 판단을 더하지 않고 지금 여기의 경험에 능동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심리적인 과정'이라고 되어 있었다.
p.50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는 전전두엽, 후방대상피질로 이어지는 뇌 회로인데, 특별히 집중해서 하는 일이 없을 때도 작동하는 뇌의 기초 활동이다. (중략)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적정하게 활성화되면 장점도 있지만, 어쨌든 중요한 것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소비하는 에너지 양이 뇌 전체가 소비하는 에너지의 60~80퍼센트를 차지한다는 점이야. 이렇게 에너지를 많이 쓰니 뇌의 피로는 여기서 비롯된다고 보여.
p.58 마인드풀니스는 집중력 향상, 감정 조절, 자기 인식 변화, 면역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네.
p.88 주의를 적절히 배분하는 것, 팀워크에 장벽이 되는 갈등을 처리하는 활동에 마인드풀니스가 영향을 미친다는 게 밝혀졌지.
p.109 숙면을 위한 조건 中, 고민이 있을 땐 다이어리에 적은 후에 잠자리에 눕는다. 적당한 운동을 한다. 잠자리에 누워서 TV나 스마트폰을 보지 않는다.
p.138 스트레스에 좋은 음식
- 매일 섭취하면 좋은 음식 : 채소, 과일, 견과류, 콩, 감자, 고구마, 전립곡물, 생선, 올리브오일, 치즈, 요구르트
- 적당히 섭취하면 좋은 음식 : 닭고기, 달걀
- 최대한 섭취를 자제해야 하는 음식 : 붉은 살코기
p.150 나쓰가 어떤 역의 플랫폼에 서 있다고 상상해봐. 자, 그곳으로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어. 안에 타고 있는 건 '잡념'이라는 원숭이 승객들이야. 열차는 잠시 그곳에 정차하는데 나쓰는 플랫폼에 그대로 서 있어. (중략) 중요한 건, '잡념'에 대해 방관자로 있는 거야.
p.188~189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마음의 힘, 마음을 평소 상태로 되돌리려는 힘을 의미하게 되었다. 회복탄력성이 낮은 마음은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맥없이 깎여버리지만,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면 쉽게 꺾이지 않는 대나무처럼 유연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p.195 한 가지 공통적인 건 '눈 앞의 한 걸음 한 걸음에 초점을 맞추는 힘'이 있다는 거야. 너무 거리가 길어서 고통스러운 경기에 지쳐 쓰러지지 않고 마지막까지 완주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먼 곳을 보지 않고 지금, 여기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중요하거든
2. 느낀 점
이 책은 '마인드풀니스'라는 방법을 모멘트 회사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나쓰라는 주인공의 시선과 요다라는 선생님의 대화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사실 자도자도 피곤하다고 말은 하면서 내 몸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지 않나 싶었다.
챕터마다 요약되어 있는 방법을 보면서 지금 하고 있는 것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반성하게 되었다. 오히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거의 종일 돌리고 있으며, 잡념이라는 원숭이들을 머리 속에 넣고 사는 건 아닐까 싶었다.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많은 멘토, 튜터님께 들었는데 이 책에서도 언급되어서 신기했다.
최근 회복탄력성이 높아졌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기본적인 수면 습관, 식습관, 운동습관을 개선하지 않으면 결국 장기적으로는 다시 무너질 수 있겠다 싶었다.
양치 스쿼트, 몸에 좋지 않은 음식 멀리하기, 적정한 수면 반드시 유지하기 등을 하는 것은 최고의 휴식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 생각된다.
오하 튜터님께서 이 책을 추천해주신 이유는 우리보다 훨씬 빡샌 일정을 소화하시면서 조금이나마 일상을 유지하는 방법을 찾고 계시고 그 정답이 이 책에 숨어있지 않을까 싶었다.
3. 적용할 점
스트레스에 좋은 음식을 위주로 먹으려고 노력할 것, 특히 회사 점심시간은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많이 좋아졌지만, 여전히 부족한 영역
종일 들어오는 알람에 모두 반응하면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만 활성화된다.
외부 잡념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해보자.
4. 함께 이야기 해보고 싶은 발제문
p.195 한 가지 공통적인 건 '눈 앞의 한 걸음 한 걸음에 초점을 맞추는 힘'이 있다는 거야. 너무 거리가 길어서 고통스러운 경기에 지쳐 쓰러지지 않고 마지막까지 완주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먼 곳을 보지 않고 지금, 여기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중요하거든
Q. 작가는 마인드풀니스로 찾아낸 최고의 휴식을 이야기하며, '지금, 여기'에 집중하는 마음을 강조합니다. 혹시 잊고 싶은 과거나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 걱정들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그런 경험이 있으시다면 어떻게 개선하셨는지 이야기 나눠보고 싶습니다.
댓글
허씨허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