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7기 5를만한 단지가 2단지인지 한눈에 알아보조 성북천다슬기] 2주차 강의 후기

  • 23.12.25





안녕하세요! 성북천다슬기입니다.


서울투자기초반은 매 주차 강의가 흥미진진합니다.

더군다나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포함되니

더욱 그렇게 느끼는 것 같습니다.


지방 앞마당을 늘릴 때도

이렇게까지 집중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먼저 내가 알고 있는 지역을 통해

앞마당 만들기를 습관 들이면

먼 지역을 만들 때

훨씬 도움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연히 착각이겠죠!)








이번 2주차 강의에서는

'서울 동북권 핵심분석'

양파링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동북권은

[성동, 광진, 동대문, 성북, 중랑, 노원, 도봉, 강북]

을 아우르는 지역권 입니다.


저는 성북구에 살고 있기에

이번 강의를 들으며

나의 지역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한 번 더 분석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동북권 중에서도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북구]를

분석해 주셨는데요.



성동구와 광진구는

가치성장투자가 가능한 2급지이고


동대문구 성북구는

현재 바로

소액투자가 가능한 4급지라고 합니다.



저는 성북구에 10년 이상 살고 있지만

투자 지역으로써는 한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고,

(물론 투자공부 자체를 시작한 지 얼마 안되었습니다..)


단지 내가 살고 있는 성북구가 너무 좋다.

이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양파링님의 강의를 듣게 되니

동북권 각각 지역의 장점과 단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역을 분석할 때는

인구, 소득, 직장, 교통, 학군, 환경, 생활권 특징

생각하게 됩니다.




동북권은 한강을 중심으로 위쪽에 있는 권역으로

좌측으론느 도심권,

아래로는 강남권이 인접합니다.

한강, 천, 산과 함께하는 지역입니다.


이 중 가장 인구수가 많은 곳은 성북구 입니다.


성북구(42만명) > 동대문구(34만명) > 광진구(33만명) > 성동구(27만명)





또한 지역별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동은

성북구 = 정릉동(7.9만명)

동대문구 = 장안동(7만명)

성동구 = 금호동(5만명)

광진구 = 자양동(9.2만명)


월 평균 소득은

성동구 > 성북구 > 동대문구 > 광진구 순입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성동구는 인구가 적지만 소득이 높은 계층이 살고 있고,

광진구는 인구가 가장 많지만 소득이 높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양파링님께서는

우리가 이렇게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꼼꼼히 알려주시며

각각의 생활권 특징을

완전히 뽑아내 주셨습니다!!..


또한

5급지 30평대 구축 vs 4급지 20평대 구축

같이

우리가 실제로 궁금해할 만한 사안들을

알기 쉽게 풀어내 설명해주셔서

비교평가를 어떤식으로 해야하는지

감을 잡기 쉬웠습니다.



양파링님의 강의를 벌써 3번째 듣게 되는데

들을 때마다

차분하게 분석하는 능력과

지역을 꿰뚫는 지혜가

너무나 배우고 싶어지집니다.


강의 후반부에는

가격별로 지금 투자가 가능한 단지를

제시해 주셨는데

속시원하게 모두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비록 지금 당장 매수는 어려울지 모르지만

이렇게나 꼼꼼히 트래킹하고 있어야 겠구나 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힘을 들여서

강사님들만큼은 못 해도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강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댓글


성북천다슬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