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매일 퇴근 후 2시간, AI가 대신 돈 벌게 만들기

8시간 전

안녕하세요. 기묘한자동화 쿠키입니다.

 

 

지난번에 케빈님께서 ‘월 천 버는 사람들의 비밀(꾸준함·겸손함)’에 대한 내용을 다루셨죠.

글 보러가기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직장인이 퇴근 후 2시간만으로 “AI가 일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고 수익을 낼 수 있는지, 저희 기묘한 자동화 팀의 실제 운영 흐름을 바탕으로 아주 구체적으로 정리해봅니다.

 

퇴근 후 2시간, AI가 일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홈페이지 외주 제작의 기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포트폴리오 홈페이지 제작(최소한의 역량 증명)
  2. 홍보/도달(크몽, Threads 등)
  3. 고객 응대(문의 → 요구사항 파악 → 견적)
  4. 작업 진행(기획 / 디자인 / 개발)
  5. 고객에게 전달(수정 / 정산)

 

실무에서 ①은 최소한의 홈페이지 갯수를 넘기면 이 후부터는 고객에게 작업해서 전달했던 포트폴리오가 생기기 때문에 초반에 이 일을 세팅하기 위해 1회만 해두면 되는 일입니다.

 

그래서 반복 실행의 핵심은 ②~⑤입니다. 아래는 이 4단계를 퇴근 후 2시간으로 굴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2시간의 루틴(매일 고정 반복 업무)

 

  • 30분: 문의와 고객 반응 확인
    • 크몽 문의, 이메일/DM, Threads 댓글/멘션 확인 → AI 요약으로 급/중/저 우선순위 분류
    • 이 업무는 퇴근 이후에 몰아서 하는 것 보다는 평상시에 짬짬이 해주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됩니다.
  • 60분: 콘텐츠 제작 * 2회
    • ChatGPT 리서치 기능으로 고객이 원하는 업종 조사 → GPT 답변을 기반으로 홈페이지 관련 게시물 작성 → 쓰레드 업로드
    • 콘텐츠를 하나 제작하는데 30분 가량을 투자하여 제작하시고 이를 두번 반복합니다. 이 시간은 처음에는 이보다 조금 더 걸릴 수 있지만 AI 툴을 활용하는데 익숙해진다면 이 사이클을 더 줄일 수 있게 됩니다.
  • 20분: 소셜 미디어 계정 관리
    • Threads 에 포스트를 업로드하는 것만으로 그치지 말고 다른 계정들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를 누르며 스스로를 알리는 일을 동시에 합니다.
    • 말그대로 그냥 스레드에서 활동을 하기만 하면 됩니다.
  • 20분: 콜드메일
    • 여러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모르는 누군가에게 홍보하는 전략입니다. 초반에는 들어오는 문의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들어오는 문의만 기다리고 있을 것이 아니라 모르는 사람에게라도 직접 다가가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이 메일 또한 ChatGPT가 작성해줍니다.

원칙:

매일매일 반복 하기. 홈페이지 제작 중에는 3, 4번 생략하기

 

이 두시간의 루틴 중 콘텐츠 제작에 대해 조금 더 심도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쓰레드라는 SNS는 글만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특수한 SNS 입니다.

 

즉 이미지나 영상 없이 짧은 글 한 줄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죠.

이 특징만으로도 쓰레드는 엄청난 장점을 갖습니다.

왜냐하면 콘텐츠를 만드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이에요.

 

비교해보자면,

유튜브에 영상을 하나 올리기 위해서는 기획, 촬영, 편집까지 최소 6시간 이상은 들어요

인스타그램에 피드하나 올리려면 이미지 제작, 편집, 글까지 작성해야하죠.

그러나 쓰레드는 한줄의 글도 콘텐츠가 됩니다.

 

출처 : Thread @dyno.kr

 

이렇게 짧은 글도 좋아요 6000개 이상을 받고 엄청난 도달을 보여주죠.

 

콘텐츠를 만드는 이유는 결국 도달(조회수)를 늘리기 위해서 입니다.

쓰레드가 이 도달을 늘리기 가장 쉬운 수단이죠.

 

심지어 우리에겐 글을 정말 잘써주는 GPT 라는 친구도 있죠.

가장 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AI에게 도움을 받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이 쓰레드입니다.

 

기묘한자동화 쓰레드 @kooky.ai

 

저는 Threads를 일기처럼 쓰는 마케팅이라고 표현합니다.

 

거창하게 꾸미지 않아도 되고,

“오늘 어떤 일을 했는지”, “어떤 툴을 써봤는지”, “고객이 이런 요청을 했다”

이런 짧은 이야기들만 올려도 충분합니다.

 

중요한 건 꾸준함이에요.

매일 1~2개의 글을 올리면 알고리즘이 반응하고,

그 안에서 고객들이 DM이나 댓글로 문의를 주기 시작합니다.

 

즉, Threads는 시간이 없는 직장인에게 가장 효율적인 홍보 채널입니다.

 

카메라도, 편집도, 장비도 필요 없습니다.

퇴근 후 10분이면 콘텐츠 하나를 만들 수 있고,

AI가 문장 초안을 대신 써주기 때문에 ‘노출 → 신뢰 → 문의’가 자동으로 이어집니다.

 

조회수 4만회가 나온 쓰레드 글

 

마치며

 

퇴근 후 2시간은 

노동 시간이 아니라 우리에게 문의를 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유인하는 자동 시스템을 만들어나가는 시기입니다. 

 

AI로 콘텐츠의 초안·반복·정리를 맡기고,

우리는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고객 문의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꾸준히 수행한지 100일이 지나면,

여러분들의 크몽과 쓰레드 계정, 이메일에 수많은 홈페이지 제작 문의가 쌓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 때부터는 특별한 홍보활동도 필요가 없게되고,

고객이 알아서 찾아오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는 것이죠.

 

작업 시간은 더더욱 줄어들 것이며, 일을 하는 시간 자체가 줄어드는 시기가 올겁니다.

 

오늘은 직장인이 퇴근 후 2시간만으로 “AI가 일하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했던 로드맵을 정리하여 글로 작성해 보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돌고 돌아 결국 실행인것 같습니다.

AI와 함께 여러분들의 시간을 자동화해 보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탑슈크란
5시간 전N

"마케팅의 일기화" 꾸준함을 정말 잘 표현해주네요.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