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서울에 임장을 다녀오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주우이님께서 입장을 다녀오고 임장보고서 작성을 10개 해보라고 하셔서 저도 목표로 세우고자 합니다.
질문 1.
임장이 처음이라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아서 임장전, 임장후 보고서 작성 글을 보고, 참고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검색 한 글들이 저는 읽을 수 없는 글이라고 나옵니다.
이 글을 읽으려면 다른 단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2.
강의에서 주우이님도 아내분과 임대사업자 등록을 해서 투자를 하신다고 하셨는데, 10호기까지 투자를 하려면 임대사업 등록을 해서 진행하는 것이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임대사업 등록을 하면 장. 단점도 알고 싶습니다.
댓글
수호신님 안녕하세요 :) 서울 임장을 단기목표로 하고 계시군요. 임장보고서 10개 작성 목표달성을 응원드립니다.
1) 월부닷컴 커뮤니티의 과제작성 팁을 읽어보셔도 도움될 것 같습니다
또는 월급쟁이부자들 네이버카페에 과제작성팁에 올라온 임장 관련 글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cafe.naver.com/wecando7
2) 임대사업자 등록을 간결하게 말씀드리면, 일정기간 동안 물건을 보유해야하는 '의무'와 세금 등의 측면에서 이점을 볼 수 있는 '혜택'이 있습니다. 임대사업을 등록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구요, 팔지 않아도 괜찮을만큼 가치가 우수한 아파트가 그 대상이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간단하게 그 의미를 알아두시고 임장경험을 쌓아가시면서 차근차근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하시는 것들 이루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수호신님. 응원하겠습니다
수호신님 안녕하세요! 문의주신 내용에 답변드립니다! 1. 임장과 임보 작성이 처음이시라면! 커뮤니티 내 강의과제 팁 게시판에도 참고가 가능 하며, 월부 카페 과장등급 이상 달성시 지역임장보고서 내용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처음이시라면 임장중인 지역과 같은 지역의 보고서를 읽으실 경우 다른 분의 생각을 내 생각이라 착각 할 수 있으니 타 지역 임장 보고서 템플릿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혼자서 방향성을 잘못 잡아가시기보다 실전준비반, 지방투자 기초반 등 과정 수강시 제공되는 템플릿으로 작성해보시기 바랍니다. 2. 주택임대 사업자는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구청에 하는 장기임대사업자 (세금감면)은 선택이나, 국세청에 신고 하는 사업자등록은 의무입니다.(4채 이상부터)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시 지방세, 임대소득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관련하여 감면 혜택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현재 아파트의 경우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구청) 현재에는 차근히 앞마당을 만들며 투자를 이어나가시며 부주낙낙님 말씀대로 다주택 시스템에서 필요한 지식들을 늘려가시면 좋을 같습니다. 수호신님의 투자활동을 응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