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서투기 29기 27조 졸린다람쥐] 지금 내가 앞마당을 만들어야하는 이유

25.11.11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지금 앞마당을 만들어야하는 이유

 

하고 싶은 일이 있고, 쉬고 싶을 때마다 

 

꼭 이걸 지금 해야할까?

이거보다 내가 하고 싶은거에 집중해야할 때 아닐까?

 

이런 생각을 종종 했고

이번 강의를 선택하기까지 정말 많은 고민을 했었다.

 

그런데 1강 마지막 챕터에서

현재 매매가 상승 현황과 2017년 현황을 비교해주셨을 때

지금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래를 알 수 없지만 혹시라도 과거 부동산 상승시장이 반복된다면,

이번에는 자산을 가지고 있기를 바라며

끝까지 제대로 된 앞마당을 만들어보자!

 

 

실거주 vs 투자, 나의 선택은?

 

실거주와 비규제지역 투자를 함께 보고 있다.

 

생애최초라면 실거주가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는 하지만

2년 동안 실거주를 해야한다는 점, 

그동안 돈을 모을 수 없는 점,

그리고 2년 동안 퇴사 충동을 버텨내야한다는 점이

큰 단점으로 느껴졌다….

 

그렇기에 실거주를 했을 때와 투자를 했을 때를 비교할 수 있어야하는데

이번 강의해서는 지방을 제외한 2가지 케이스를 모두 볼 수 있었다.

 

서울/수도권의 실거주와 비규제 지역의 투자까지

모든 지역을 알고, 각 지역의 사례를 볼 수 있었고,

관심 지역에 대한 주우이님의 의견도 들어볼 수 있었다.

  • 공급량, 전세가 많이 빠지는 지역
  • 연식(신축/구축)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같은 구라도 오르지 못한 지역과 토허제의 영향
  • 저층 아파트, 소규모 단지 등
  • 행정구역의 영향
  • 지역별 특징(사람들의 모습 등), 선호하는 곳 등등

 

그리고 가장 듣고 싶었던 비규제 지역의 소액투자 방향까지

 

하지만 문제는 결국엔 아는 곳이 많아야 

비교하고 어떤게 더 가치 있는지 알 수 있다는 것…

그치만.. 다 보려다가 아무것도 못사고 시간만 보내면 어쩌지… 

라는 생각이 또 반복됐다~.~

 

 

무엇보다 가장 좋았던 건 조모임&과제

 

일정상 실준을 건너뛰고 서투기를 듣게 되었다.

어려울까봐 걱정했고, 임보를 대체 왜 쓰는지도 모르는 내가 과제를 할 수 있을까 싶었다.

 

그런데 분임 때 조장님이 생활권 정리 미션을 주셨고,

다른 조원분들의 생활권 정리 결과물을 보면서

정리해볼 수 있었고

또 빠진 부분은 피드백을 받아

생활권 순위까지 뽑아볼 수 있었다😆

 

이어서 과제 템플릿을 따라하다보니

객관적인 관점에서 입지 분석을 하게되면서

그동안 그냥 느낌으로만 판단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늘 내 예산에 맞는 집은 후순위 생활권에 있었고 구축이었다.

그래서 마음에 드는 아파트를 고를 수 없다는 핑계로

대체 어떤걸 어떻게 골라야하는지 불평만 가득했던 것 같다.

 

이번에는 보고서를 작성해면서

내가 살 수 있는 아파트 중에

가장 가치 있는 걸 뽑아보자!!


댓글


졸린다람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