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서투기 게으름은 2제 9만, 1사7리로 투자하조' 데이지30 ] 시간이 흐른 후 에피소드를 만들 투자를 하자!!

25.11.13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서투기 게으름은 2제9만 1사7리로 투자하조' 의 데이지30 입니다. 

이번 서투기의 2강은 양파링 튜터님이 열어주셨습니다. 

 

이번 A지역은 가끔씩 튜터님들이 여름에 꼭 임장해보라고 권유하시던 지역인데..

저는 이 지역의 재개발지역  뚜껑매물을(양파링님이 강의 중간에 말씀하신…) 알아보기 위해 다녀온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위험하기도 하고 그 당시 적은 금액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었기에 포기해버렸습니다ㅜㅜ

 

다행일까요? 뚜껑을 보러다니고 마음에 꽂히는 지방 아무곳이나 가서 갭투기를 할 뻔만 제가 

어쩌다가 월부에 입성하여 제대로 된 투자를 해야겠다하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마저도 너무 시간을 보내버려 아쉽기는 하지만 이제라도 시작하면 되겠죠?

 

하여간 강의에 나온 A 지역은 

현재가치로 너무 좋은 곳입니다. 

이유는 강남까지 환승없이 15분, 구디역(7분), 시청역(35분), 여의도역(27분) 환승1, 미디어시티역 32분(환승1), 마곡역 39분(환승1) 등 주요 업무지구로의 시간이 30분여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다음 미래가치가 있는 곳입니다. 

서울은 재개발, 재건축의 제한이 있는 곳입니다. 

그런데 서울안에서 강남과 가까운 곳에 재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더 좋아질 것은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가치가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가격이 싸다는 것입니다. 

현재 이 지역의 선호단지들도 지난 상승장 최고가에는 못 미치는 가격이기에 너무 좋은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 들어 이미 이 지역의 장점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현재 규제로 인해 투자로는 접근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기만 합니다. 

 

하지만 누누히 이야기 했듯이 현재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양파링 튜터님은 A지역의 가치와 가격을 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강의에서 전해주셨습니다. 

그렇게 알려주신 생활권별로 어떤 입지가치를 가지는지 그 생활권에서 선호되는 것과 덜 선호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사실 A지역은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양파링님은 서울안에서 저가치인 곳은 없다고 하셨고 언제 투자를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그 시기에 그것을 사야 하는지 아닌지가 더 중요하다고요~

 

A지역이 투자가능한 지역이 아니지만 투자자라면 내가 살고 싶은 집을 사려고 고르기보다

잠시 실거주 하고 2년 뒤 전세를 줄 수 있는 프로세스를 잘 검토하여 

서울/수도권 핵심지 자산을 갖기 위해 현실적인 방법으로 실거주를 하라고 하셨습니다. 

 

“ 부동산 시장은 늘 변한다. 현재 할 수 있는 투자를 실행하고 다음을 준비해야 한다”

 

양파링님은 본인의 10년 전 비전보드를 꺼내어 보여주셨습니다. 

최근 수강생들의 화려한 비전보드에 비해 그 당시 양파링님의 비전보드는 단순해보이고 담백해보였습니다. 

하지만 파링님은 힘든 투자생활을 해나가며 비전보드를 하나, 둘씩 이루어가시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내가 비전보드에 적은 몇 십억을 달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투자를 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기고 기회가 왔을 때 관망하지 말고 나아가야겠습니다. 

 

양파링님의 시어머님이 아이를 유치원에 데려다주는 행복을 당신만 느껴서 마음이 시렵다고 표현하셨습니다. 

많은 것들이 느껴졌습니다. 며느리와 손녀딸을 향한 사랑과 애정, 그리고 며느리가 느낄 행복감을 대신 느끼는 미안함과 염려들…

 

정말 시간이 지나 동료들과 제가 걸어온 걸음이 에피소드가 되고 추억이 되었으면 합니다. 

당장 매수했다고 기뻐하고 또 가격이 하락했다고 속상해하기보다

버티면 되겠구나 생각하고 버텨보겠습니다~

 

좋은 강의를 해주신 양파링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데이지3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