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서투기 29기 27조 졸린다람쥐] 규제 속에서 내가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기

25.11.16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진짜 실거주 하는 게 맞을까?

실거주 2년을 고려한 투자를 알 수 있었던 강의

 

7월 부터 내마기-내마중-열기-저평가 아파트 찾기- 서투기까지 이어오면서

내집마련에 투자관점을 더하게 되었다.

 

월부 강의를 듣는 동안 

퇴사 - 휴식 - 이직 등 많은 변화를 겪는 사이

부동산 시장에는 더 많은 일이 생겼고

7, 8월에 봐둔 아파트들이 올라서 못 사게 되거나

매물이 없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그 사이 내 생각에도 변화가 생겼다.

단순 내집마련이 아니라 비전보드를 그리고 목표 금액을 산정하고 

내 집 마련이 아닌 ‘집=자산’이라는 관점을 더할 수 있었다.

 

그러다보니 거주 만족도 보다는 최종 목표 금액에 초점이 맞춰졌고

적은 예산으로 2년 동안 원리금 상환하면서 실거주를 선택하는게 맞나 싶었다.

(아마… 늘 사직서를 품고 다니는 내가 회사를 의무적으로 2년 이상 다녀야하는게… 막막했던거 같다.)

 

그런데 이번 강의의 2년 실거주 전략을 들어보니

원리금 상환을 투자 방안의 일부로 보는 것 같았다.

하나의 단점일 뿐, 선택의 큰 걸림돌이 아닌 것 처럼

 

실거주 2년은 자산을 쌓는 과정 중 하나이고

비전보드 속 나의 목표를 생각하면

2년 원리금 상환은 긴 기간도, 큰 일도 아님

목표를 이뤄나가는 과정일 뿐

 

 

내가 해야할 일

  1. 예산 다시 점검하자
  2. 앞마당 만들기와 단지 가치 판단!
  3. A지역에 내 예산에 맞는 매물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나에게 적용할 내용

“2년 뒤 전세 조건을 함께 보자!!”

  • 공급물량 체크하기
  • 내가 살 집을 위한 보증금 마련
  • 다음 자산을 위한 종잣돈 고려하기
  • 전세가 잘 나가는 아파트 고려하기

 

내 집 마련에서는 전세 수요 상관 없이

내가 할 수 있는 한 가장 좋은 아파트를 사는 것만 목표로 했었는데

투자를 계속 이어간다고 하면

2년 뒤 나올 생각이라면 전세까지 고려하고 자산을 쌓아가자

 

 

앞마당을 만들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면 되는 것

완벽한 선택을 하려고 하지 말자

공부에서 멈추지 말고 투자로 이어지게 하자

목표를 위해 나아가자

 

 


댓글


나믿따
25.11.17 13:03

람쥐님~ 실전투자까지 늘 응원할게요!! 파이팅~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