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 직거래로 부동산 매매계약(시가대비 약 25프로 저가양도)을 6억에 했는데 양도세 및 취득세는 거래금액이 아닌 세법상 기준시가(8억)로 산정된다고 합니다. 그럼 추후 이 물건을 매도할 시 양도차익은 실취득가(6억) or 기준시가(8억) 중 어떤 금액 기준으로 계산되나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sr713님 안녕하세요~~ 양도소득세는 양도가액-(취득가액+양도비용) = 양도차익 과세표준, 세율로 계산해서 나오게됩니다 그러나 질문주신것처럼 가족간 거래일경우에는 시가의 95% 이하로 양도하면 거래가격이 아닌 시가로 계산됩니다 만약 향후 물건 매도시에는 가족간 거래가 아닐 경우에는 양도가액 기준으로 설정될것 같습니다 한번 거래가 확정되면 세금은 되돌리수 없기 때문에 꼭 세무상담 후 진행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R713님 가족 간 부동산 저가거래는 원칙적으로 증여로 보지만, 시가의 5% 또는 3억원 중 작은 금액 범위 내 저가 매매는 인정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가족간 증여로 계약서상의 양도금액이 아닌 시가로 양도세가 계산됩니다. 향후 매도 시 가족간 매매가 아닌 타인과의 매매일 경우는 계약서상의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만큼 양도세가 계산됩니다. 전문가와 상담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5% 저가양도가 된 경우에는 "증여"가 되어서 시가로 양도세가 계산되는게 맞습니다! 만약에 4억 시가인 아파트를 25% 저가양도받으셨으면 나중에 양도세 계산할 때에는 양도가액 - 시가액 (3억이 아닌 4억) - 필요경비 로 양도세가 계산된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