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10.15 부동산 대책 한 달..지금 전세시장에서 벌어진 일

12시간 전

안녕하세요. 양파링입니다.

10.15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집값 안정을 시키겠다며 나온 초강력규제는 과연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지금 전세시장에서 무슨 일이?
 

 

10월 15일, 정부는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축소하고(25억 초과 2억, 15~25억 4억, 15억 이하 6억)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전세 끼고 매수를 막았습니다.

그리고 한 달이 지난 지금, 

전세시장에는 두 가지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전세매물 급감

서울 전세 매물이 연초와 비교하면 17.2% 감소했습니다(3만 1,814건 → 2만 6,341건)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전세 끼고 매수를 막은 부분이 매매 뿐만 아니라 전세매물까지 줄인 것입니다.

토허제 지역의 실거주의무 때문에 당장 실입주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들도  전세를 놓을 수 없습니다.

울며 겨자먹기로 입주를 해야 하고, 시장에 나올 전세물량을 뺏어간 것입니다.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증가

세입자는 1회에 한해 2년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대출 규제로 집 사기가 어려워진 실수요자들이 "차라리 지금 집에서 2년 더"를 선택하면서 이 권리 사용이 급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전세 매물이 시장에서 더 사라진 것입니다.

실제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있는 2000세대 대단지 아파트 24평형을 살펴보면 하반기 전세물량 절반 이상이 갱신계약으로 신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현실

 

2026년 서울 입주물량은 2025년 대비 64% 감소합니다.

27년,28년,29년은 그 보다 더 줄어듭니다.

전세 수요는 계속 존재하는데 공급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임차인에게는 주거안정이 위협받는 불안한 임대시장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면 투자자에게는 안정적으로 임차인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전세물량 부족이라는 같은 원인이지만

어떤 포지션에 서느냐에 따라 위기와 기회가 갈립니다.

현실은 냉정합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 가까이 모아야 한다고 합니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월부에 온 이유 입니다.

근로소득만으로는 너무 까마득해 보이지 않던 미래.

불가능해 보이는 자산목표를 현실로 이루기 위해서 입니다.
 

 

 

불확실한 시장에서 확실한 것

 

10.15 대책이 나왔을 때 많은 분들이 당황하셨을 겁니다. 

“이제 투자는 끝난 건가?”

 

한달이 지난 지금, 데이터가 말해주는 것은 명확합니다.

시장은 얼어붙었지만, 수요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전세시장은 더 타이트해졌고, 투자자에게는 안정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불확실한 시장에서 확실한 것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쌓은 실력입니다. 

동료들과 함께 나눈 경험입니다. 

그리고 내 목표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정부 정책은 계속 바뀔 것입니다. 시장은 계속 요동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직접 현장을 밟고, 정리하고, 비교하며 배운 것들은

어떤 정책에도 흔들리지 않게 해줍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무기입니다.

 

든든한 무기를 가진 투자자에게

지금 시장은 위기가 아닌 기회입니다.

여러분들의 능력치를 반드시 쓰셨으면 합니다.

 

엄청난 기회의 시장에서 겁먹지 마시기를

멈추지 말고 나아가시기를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댓글


험블creator badge
12시간 전N

지금껏 쌓아온 시간들이 우리의 무기가 되어줄 지금 시장, 절대 놓치지 않겠습니다!!! 용기 주셔서 감사합니다 멘토님!

새로움s
12시간 전N

어떤 상황에서도 쌓아둔 실력은 빛이 날거라 믿고 기회를 잡는 투자자 되겠습니다!!

함께하는가치
12시간 전N

멘토님 감사합니다 불확실한 시장 안에서도 묵묵히 실력을 쌓고 행동하면서 기회를 잡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