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지난 4월 실준반 마지막 너나위님 강의를 들으며, '가치성장투자'노선을 택했던 저였습니다.
그땐 막연히 '나는 종잣돈이 어느 정도 있으니까, 지금 내 여건상 지방을 임장다니긴 어려우니까,
수도권 투자를 해야하는데 그러면 일시적 1가구2주택으로 갈아타기나 가치성장투자 노선 밖에 없겠구나
그렇담 나는 가치성장투자노선이다' 이런 생각 흐름으로 결정했던 것 같아요.
이번 서울투자 기초반 1강 양파링님의 강의를 들으며,
서울투자도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 두 노선 중 선택할 수 있음을,
'가치성장투자=서울투자, 소액투자=지방투자'로만 한정지었던 제 고정관념을 깰 수 있었습니다.
방향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스스로의 상황!
한 두채로 돈을 벌 수 있는 상황인지 아니면 실력과 노력으로 목표달성을 해야 하는 상황인지 이건 각자 다르니까요.
다만 여전히 헷갈리는 부분은 최소 현금1억이상 보유해서 가치성장투자기준은 채우더라도,
실제로 가치성장투자로 자산을 만들기 위해 임장+임보를 하며 앞마당을 만들 서울2~3급지는
필요투자금이 4~5억 이상인데 1억이상 보유했다고 2,3급지 우선임장을 하는게 맞는건가 고민이 되긴 하네요.
실제로는 4급지인 서대문구도 지난달 시세조사하니 20평대 매-전갭이 단지별로 2억~6억대였거든요 ㅠ_ㅠ
(강의나 교재에서는 평균 평당가로 산출해서 투자금이 더 작게 나오는 것 같네요)
자꾸 스스로 유리천장을 쳐다보고 한숨쉬지 말고,
양파링님 말씀대로 소액으로 살 수 없는 물건을 소액으로 사겠다는 신념으로
서울4-5급지와 1기신도시 앞마당 만들고, 투자가능단지 뽑고, 시세트래킹하며
독강임투를 꾸준히 해야겠구나 다짐해봅니다.
서기 1강 본/깨/적
<본>
<깨>
(서울 내에서도 땅의 가치+단지선호도에 따라 경기도 주요단지보다 수익이 낮을 수 있다)
>> 이 또한 결국은 단지 대 단지, 매물 대 매물로 비교평가를 해야하는 영역이다.
>> 먼저 서울 급지별 입지요소 특장점을 이해하고, 그렇게 이해한 땅의 가치를 바탕으로 비교평가 후 내가 하려는 투자와 연결해야 한다.
<적>
댓글